페도라에서는 /etc/sysconfig/vncserver에 설정파일이 있었는데
ubuntu에서는 이 파일이 존재 하지 않고 vnc가 구동이 되길래 어떤걸로 구동이 되나 궁금해서
프로세스를 찾아 보니 vino-server라는 것이 존재했다.
일단 이녀석을 찾아 보니.. 2005년 KDLP문서에도 발견되는거 봐선... 오래전부터 있어왔던것 같다.
Gnome에 통합된 VNC라고 한다.
[링크 :
http://kldp.org/node/55005]
그리고 앞의 문서에서 내가 5900 외에 다른 포트로 사용했는데, 원래 의도한 방법과는 너무 다르게 사용한것 같다.
원래 의도는 VNC가 가지는 보안상의 헛점으로 인해 ssh tunnelling을 이용하여 localhost:0으로 접속을 하도록
한것인데, 이게 귀찮아서 그냥 바로 VNC로 접속하도록 설정을 하고 쓰고 있다.
[링크 :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linux-desktop-74/how-to-configure-vino-server-561753/]
vino-server를 콘솔에서 직접 명령어로 제어하는 것에 대한 문서이다
I suppose the settings in
/etc/gdm/gdm.conf-custom override those in /etc/gdm/gdm.conf
You are perfectable capable of setting each value in the
/home/<userhomedir>/.gconf/desktop/gnome/remote_access/%gconf.xml
file manually using the gconftool-2 command.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266981]
가장 왼쪽패널이 Vino-server 패널의 아이콘
vino-server로 vnc 접속시 나타나는 메시지.
[vino-server 공식? :
http://vino.klik.atekon.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