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 > arduino(gen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uino clcd (0) | 2016.11.25 |
---|---|
arduino nano 스펙(PWM) (0) | 2016.11.25 |
arduino firmata (0) | 2016.04.27 |
attiny2313 usb client (0) | 2016.04.19 |
arduino usb joystic / atmega32u4 (0) | 2016.04.19 |
arduino clcd (0) | 2016.11.25 |
---|---|
arduino nano 스펙(PWM) (0) | 2016.11.25 |
arduino firmata (0) | 2016.04.27 |
attiny2313 usb client (0) | 2016.04.19 |
arduino usb joystic / atmega32u4 (0) | 2016.04.19 |
아두이노 예제에 있는데 머하는 넘인지 찾아 봐야지
[링크 : https://www.arduino.cc/en/Reference/Firmata]
arduino nano 스펙(PWM) (0) | 2016.11.25 |
---|---|
아두이노 프로세싱(언어) (0) | 2016.05.09 |
attiny2313 usb client (0) | 2016.04.19 |
arduino usb joystic / atmega32u4 (0) | 2016.04.19 |
processing / arduino / mpu-6050 (0) | 2016.04.14 |
attiny 12MHz로 일반 gpio를 이용 저속 usb 통신하는 녀석..
int0 / int1 인가.. gpio로 pd2 / pd3 일려나..
[링크 : http://codeandlife.com/2012/01/22/avr-attiny-usb-tutorial-part-1/]
[링크 : http://codeandlife.com/2012/01/25/avr-attiny-usb-tutorial-part-2/]
[링크 : http://codeandlife.com/2012/01/29/avr-attiny-usb-tutorial-part-3/]
[링크 : http://codeandlife.com/2012/02/04/avr-attiny-usb-tutorial-part-4/]
USBtiny is a software implementation of the USB low-speed protocol for the Atmel ATtiny microcontrollers.
[링크 : http://dicks.home.xs4all.nl/avr/usbtiny/]
V-USB is a software-only implementation of a low-speed USB device for Atmel’s AVR® microcontrollers, making it possible to build USB hardware with almost any AVR® microcontroller, not requiring any additional chip.
아두이노 프로세싱(언어) (0) | 2016.05.09 |
---|---|
arduino firmata (0) | 2016.04.27 |
arduino usb joystic / atmega32u4 (0) | 2016.04.19 |
processing / arduino / mpu-6050 (0) | 2016.04.14 |
아두이노.. gpio로 pwm 신호 출력 (0) | 2016.04.13 |
아두이노로 조이스틱이나 키보드 만드는게 보여서 검색을 해보니
특정 버전의 아두이노에서만 되는 이유가
ATmega??U4 시리즈에는 USB 컨트롤러가 내장되어 있어서 였군 -_-
ATmega16U4/ATmega32U4
8-bit Microcontroller with 16/32K bytes of ISP Flash and USB Controller
[링크 : http://www.atmel.com/images/atmel-7766-8-bit-avr-atmega16u4-32u4_datasheet.pdf]
[링크 : http://www.instructables.com/id/Add-USB-Game-Controller-to-Arduino-LeonardoMicro/]
[링크 : https://github.com/MHeironimus/ArduinoJoystickLibrary]
arduino firmata (0) | 2016.04.27 |
---|---|
attiny2313 usb client (0) | 2016.04.19 |
processing / arduino / mpu-6050 (0) | 2016.04.14 |
아두이노.. gpio로 pwm 신호 출력 (0) | 2016.04.13 |
아두이노 스테핑 모터.. (0) | 2016.04.13 |
음... euler angle 이란걸 발견해서 이미지로 검색하다 보니..
역시 세상은 넓고 찾아 쓰는것도 빡세구나..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850550620]
이미지에 보니.. FreeIMU 란게 보이는데.. 보드네?
[링크 : http://www.varesano.net/projects/hardware/FreeIMU]
[링크 : http://diyhacking.com/arduino-mpu-6050-imu-sensor-tutorial/]
[링크 : http://www.geekmomprojects.com/mpu-6050-dmp-data-from-i2cdevlib/]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Gimbal_lock]
[링크 : https://github.com/jrowberg/i2cdevlib] 라이브러리
attiny2313 usb client (0) | 2016.04.19 |
---|---|
arduino usb joystic / atmega32u4 (0) | 2016.04.19 |
아두이노.. gpio로 pwm 신호 출력 (0) | 2016.04.13 |
아두이노 스테핑 모터.. (0) | 2016.04.13 |
아두이노 내장 온도 센서 테스트 (0) | 2016.04.11 |
그냥 정말 날로 먹는 코드
D3와 D6을 스피커로 연결해서
GPIO를 통해 해보니..
492.8Hz 로 duty 50% 정도의 PWM 파형이 나오는데
이걸로 음악을 어떻게 해볼까...
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pinMode(3, OUTPUT); pinMode(6, OUTPUT); digitalWrite(6, 0); } void loop() { // put your main code here, to run repeatedly: digitalWrite(3, 1); delay(1); digitalWrite(3, 0); delay(1); }
arduino usb joystic / atmega32u4 (0) | 2016.04.19 |
---|---|
processing / arduino / mpu-6050 (0) | 2016.04.14 |
아두이노 스테핑 모터.. (0) | 2016.04.13 |
아두이노 내장 온도 센서 테스트 (0) | 2016.04.11 |
아두이노 3.3V (0) | 2016.04.09 |
와... 몰라도 쓸수 있을 것만 같은 기분?
어째... 달링턴 쓰는게 더 직관적인 기분이지?
[링크 : http://wiki.vctec.co.kr/opensource/arduino/steppermotor] L293D / 아두이노 스테핑 라이브러리
[링크 : http://www.ohm.co.kr/...&num1=999987&num2=00000&lock=N] UNL2003 달링턴 어레이
processing / arduino / mpu-6050 (0) | 2016.04.14 |
---|---|
아두이노.. gpio로 pwm 신호 출력 (0) | 2016.04.13 |
아두이노 내장 온도 센서 테스트 (0) | 2016.04.11 |
아두이노 3.3V (0) | 2016.04.09 |
아두이노 퓨즈비트 설정관련 (0) | 2016.04.07 |
믿을만 한건가...?
|
실내온도 25도
손으로 대면 약간 따스함이 느껴지는걸 봐서는 37도~38도 정도 되지 않을까 싶은데...
19.4도는 손을 댄 시점..
20.2 20.2 20.2 21.1 20.2 20.2 20.2 21.1 20.2 21.1 20.2 20.2 19.4 19.4 18.6 19.4 19.4 20.2 19.4 20.2 21.1 20.2 20.2 20.2 20.2 20.2 20.2 21.1 20.2 21.1 20.2 21.1 20.2 |
그냥 레지스터 출력
349.0 349.0 349.0 348.0 348.0 348.0 348.0 348.0 349.0 349.0 348.0 349.0 349.0 |
[링크 : http://playground.arduino.cc/Main/InternalTemperatureSensor]
2016/03/31 - [embeded/arduino(genuino)] - 아두이노 나노 내장 온도센서
아무튼.. 아래 계산식에 의해 349를 계산해보면
349 = (Vin * 1024) / 1.1
Vin = (349 * 1.1) / 1024
Vin = 0.37490234375 = 374mV 인가?
대충.. 10bit니까 1024.. rev가 1.1로 내장 전원을 쓰니
단순하게(?) 출력으로 나오는 값에서 10으로 나눠주면 되려나?
그런데.. k랑 Tos값은 제품 테스트의 일부로 EEPROM에 테스트 해서 저장해야 한다고?!?!
[링크 : http://www.atmel.com/images/...328p_datasheet_complete.pdf]
[링크 : https://www.arduino.cc/en/uploads/Main/ArduinoNano30Schematic.pdf]
AREF는 0.0V로 연결되서.. 코드에서 내부 1.1V로 설정한 듯?
ADMUX = (_BV(REFS1) | _BV(REFS0) | _BV(MUX3));
Internal 1.1V Voltage Reference with external capacitor at AREF pin
회로도에서 찾아 보니.. AVcc는 5V랑 묶여 있으니..
데이터시트에서 해당내용을 찾아 변경하면..
음.. 너무 빠듯하게 나오네..
ADMUX = (_BV(REFS0) | _BV(MUX3)); // (_BV(REFS1) |
79.0 79.0 79.0 79.0 79.0 79.0 79.0 |
+
offset도 .. gain도 많이 다르네?
static const float offset = 335.2; // change this by calibration result
static const float gain = 1.06154;
[링크 : http://www.avdweb.nl/arduino/hardware-interfacing/temperature-measurement.html]
아두이노.. gpio로 pwm 신호 출력 (0) | 2016.04.13 |
---|---|
아두이노 스테핑 모터.. (0) | 2016.04.13 |
아두이노 3.3V (0) | 2016.04.09 |
아두이노 퓨즈비트 설정관련 (0) | 2016.04.07 |
아두이노 외부 프로그래머로 굽기 (0) | 2016.04.07 |
올... 이미 다 설정이 있네? ㄷㄷ
조금 번거로워도.. 거상인 GS-08A Atmega8 을 이걸 가지고
조금 수정해서
3.3V 용으로 퓨즈비트랑 설정한 다음 stk-500 계열로 avrisp 이용해서 구으면 될려나?
[링크 : https://learn.sparkfun.com/tutorials/using-the-arduino-pro-mini-33v]
아두이노 스테핑 모터.. (0) | 2016.04.13 |
---|---|
아두이노 내장 온도 센서 테스트 (0) | 2016.04.11 |
아두이노 퓨즈비트 설정관련 (0) | 2016.04.07 |
아두이노 외부 프로그래머로 굽기 (0) | 2016.04.07 |
아두이노 부트로더 굽기? (0) | 2016.04.06 |
기본값으로 설치되었다는 전제하에
아래 경로에 플래시 구울때 사용하는 설정들이 존재한다.
아두이노는 기본적으로 USB 파워나 외부 전원을 통해(7805) 5V를 공급하도록 되어있는데
7805를 들어내거나 결선을 바꾸거나 외부 Vcc에다가 3.3V를 넣어 주고
클럭을 다운시켜 작동하면 좀 간편할지도?
아니면 프로미니 3.3V 이런거라던가?
ATmega328 running at 8MHz with external resonator (0.5% tolerance)
Low-voltage board needs no interfacing circuitry to popular 3.3V devices and modules (GPS, accelerometers, sensors, etc)
[링크 : https://www.sparkfun.com/products/11114]
C:\Program Files (x86)\Arduino\hardware\arduino\avr\boards.txt
############################################################## nano.name=Arduino Nano nano.upload.tool=avrdude nano.upload.protocol=arduino nano.bootloader.tool=avrdude nano.bootloader.unlock_bits=0x3F nano.bootloader.lock_bits=0x0F nano.build.f_cpu=16000000L nano.build.board=AVR_NANO nano.build.core=arduino nano.build.variant=eightanaloginputs ## Arduino Nano w/ ATmega328 ## ------------------------- nano.menu.cpu.atmega328=ATmega328 nano.menu.cpu.atmega328.upload.maximum_size=30720 nano.menu.cpu.atmega328.upload.maximum_data_size=2048 nano.menu.cpu.atmega328.upload.speed=57600 nano.menu.cpu.atmega328.bootloader.low_fuses=0xFF nano.menu.cpu.atmega328.bootloader.high_fuses=0xDA nano.menu.cpu.atmega328.bootloader.extended_fuses=0x05 nano.menu.cpu.atmega328.bootloader.file=atmega/ATmegaBOOT_168_atmega328.hex nano.menu.cpu.atmega328.build.mcu=atmega328p ## Arduino Nano w/ ATmega168 ## ------------------------- nano.menu.cpu.atmega168=ATmega168 nano.menu.cpu.atmega168.upload.maximum_size=14336 nano.menu.cpu.atmega168.upload.maximum_data_size=1024 nano.menu.cpu.atmega168.upload.speed=19200 nano.menu.cpu.atmega168.bootloader.low_fuses=0xff nano.menu.cpu.atmega168.bootloader.high_fuses=0xdd nano.menu.cpu.atmega168.bootloader.extended_fuses=0x00 nano.menu.cpu.atmega168.bootloader.file=atmega/ATmegaBOOT_168_diecimila.hex nano.menu.cpu.atmega168.build.mcu=atmega168 |
[링크 : https://forum.arduino.cc/index.php?topic=236128.0]
Arduino Duemilanove or Nano w/ ATmega328 Low Fuse 0xFF High Fuse 0xDA Extended Fuse 0x05 |
[링크 : http://www.codingwithcody.com/2011/04/arduino-default-fuse-settings/]
[링크 : http://www.engbedded.com/fusecalc/] 퓨즈비트 계산기
+
어제 퇴근길에 본거 겨우 링크 찾았네..
[링크 : http://www.ba0sh1.com/tutorial-3-3v-hacking-for-arduino-nano/]
아두이노 내장 온도 센서 테스트 (0) | 2016.04.11 |
---|---|
아두이노 3.3V (0) | 2016.04.09 |
아두이노 외부 프로그래머로 굽기 (0) | 2016.04.07 |
아두이노 부트로더 굽기? (0) | 2016.04.06 |
avrdude: stk500_getsync() attempt 1 of 10: not in sync (0) | 2016.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