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 web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SH -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0) | 2015.09.11 |
---|---|
웹소켓(websocket) (0) | 2015.01.07 |
HTML META cache (0) | 2014.10.20 |
aptana / eclipse (0) | 2014.08.25 |
node.js (0) | 2014.07.07 |
DASH -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0) | 2015.09.11 |
---|---|
웹소켓(websocket) (0) | 2015.01.07 |
HTML META cache (0) | 2014.10.20 |
aptana / eclipse (0) | 2014.08.25 |
node.js (0) | 2014.07.07 |
먼가 테스트 하다보니..
Firefox에서 이런 메타 태그가 보여서 성능 향상에 영향을 미칠까 하고 검색을 해보았지만..
CACHE-CONTROL
<META HTTP-EQUIV="CACHE-CONTROL" CONTENT="NO-CACHE"> HTTP 1.1. Allowed values = PUBLIC | PRIVATE | NO-CACHE | NO-STORE. Public - may be cached in public shared caches
Private - may only be cached in private cache
no-Cache - may not be cached
no-Store - may be cached but not archived
The directive CACHE-CONTROL:NO-CACHE indicates cached information should not be used and instead requests should be forwarded to the origin server. This directive has the same semantics as the PRAGMA:NO-CACHE. Clients SHOULD include both PRAGMA:NO-CACHE and CACHE-CONTROL:NO-CACHE when a no-cache request is sent to a server not known to be HTTP/1.1 compliant.
Also see EXPIRES.
Note: It may be better to specify cache commands in HTTP than in META statements, where they can influence more than the browser, but proxies and other intermediaries that may cache information.
[링크 : http://www.i18nguy.com/markup/metatags.html] |
웹소켓(websocket) (0) | 2015.01.07 |
---|---|
html / input type radio에서의 reset 처리 (0) | 2015.01.06 |
aptana / eclipse (0) | 2014.08.25 |
node.js (0) | 2014.07.07 |
부트스트랩 - 웹개발 프레임워크 (0) | 2014.07.07 |
html / input type radio에서의 reset 처리 (0) | 2015.01.06 |
---|---|
HTML META cache (0) | 2014.10.20 |
node.js (0) | 2014.07.07 |
부트스트랩 - 웹개발 프레임워크 (0) | 2014.07.07 |
jsp / php 기본 문법 비교 (0) | 2014.07.07 |
Node.js is a platform built on Chrome's JavaScript runtime for easily building fast, scalable network applications. [링크 : http://nodejs.org/] |
var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function (req, res) {
res.writeHead(200, {'Content-Type': 'text/plain'});
res.end('Hello World\n');
}).listen(1337, "127.0.0.1");
console.log('Server running at http://127.0.0.1:1337/');
[링크 : http://nodejs.org/about/] |
V8 엔진은 Garbage collection 기반의 메모리 관리를 하기 때문에, GC시 CPU 사용률이 Spike를 치면서 순간적으로 서버를 멈추게할 수 있다는 문제점 [링크 : http://bcho.tistory.com/876] |
HTML META cache (0) | 2014.10.20 |
---|---|
aptana / eclipse (0) | 2014.08.25 |
부트스트랩 - 웹개발 프레임워크 (0) | 2014.07.07 |
jsp / php 기본 문법 비교 (0) | 2014.07.07 |
post 방식과 get 방식의 차이점(cache) (0) | 2014.05.15 |
aptana / eclipse (0) | 2014.08.25 |
---|---|
node.js (0) | 2014.07.07 |
jsp / php 기본 문법 비교 (0) | 2014.07.07 |
post 방식과 get 방식의 차이점(cache) (0) | 2014.05.15 |
sql designer(web) (0) | 2014.05.11 |
node.js (0) | 2014.07.07 |
---|---|
부트스트랩 - 웹개발 프레임워크 (0) | 2014.07.07 |
post 방식과 get 방식의 차이점(cache) (0) | 2014.05.15 |
sql designer(web) (0) | 2014.05.11 |
호스팅어 / 무료 웹 호스팅 (4) | 2014.04.27 |
부트스트랩 - 웹개발 프레임워크 (0) | 2014.07.07 |
---|---|
jsp / php 기본 문법 비교 (0) | 2014.07.07 |
sql designer(web) (0) | 2014.05.11 |
호스팅어 / 무료 웹 호스팅 (4) | 2014.04.27 |
ie8 과 크롬의 html 태그 파싱 차이점 (0) | 2014.04.10 |
테이블을 생성하고 필드를 생성하고
폴린키로 사용할 필드(즉, 다른 테이블의 시퀀스/autoincrement)를 누를경우 활성화 되는
Create foreign key / connect foreign key
connect의 경우 시퀀스 -> 연결할 키의 순서로 해주면된다.
db table 생성도 척척!
썩 나쁘지는 않아 보인다.
jsp / php 기본 문법 비교 (0) | 2014.07.07 |
---|---|
post 방식과 get 방식의 차이점(cache) (0) | 2014.05.15 |
호스팅어 / 무료 웹 호스팅 (4) | 2014.04.27 |
ie8 과 크롬의 html 태그 파싱 차이점 (0) | 2014.04.10 |
NoSQL (0) | 2014.04.09 |
post 방식과 get 방식의 차이점(cache) (0) | 2014.05.15 |
---|---|
sql designer(web) (0) | 2014.05.11 |
ie8 과 크롬의 html 태그 파싱 차이점 (0) | 2014.04.10 |
NoSQL (0) | 2014.04.09 |
w3c 규격 번역 (0) | 2014.03.17 |
<input type="password" name="password" />
<input type=password name=password />
<input type=password name=password/> |
<input type=password name=password/> |
sql designer(web) (0) | 2014.05.11 |
---|---|
호스팅어 / 무료 웹 호스팅 (4) | 2014.04.27 |
NoSQL (0) | 2014.04.09 |
w3c 규격 번역 (0) | 2014.03.17 |
wan 에서 mac address 얻기 (0) | 201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