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Windows2024. 1. 15. 14:10

공유기 쓰면 간단(?)하겠지만 귀찮으니(!) 자체적으로 서비스 포트변경하는 법 찾아봄

 

레지스트리를 변경하고 리부팅 해줘야 적용이라니 -_-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server/remote/remote-desktop-services/clients/change-listening-port]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server/remote/remote-desktop-services/clients/change-listening-port]

[링크 : https://v2cloud.com/tutorials/change-rdp-port]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그림판 보다는 3d builder  (0) 2024.02.19
ms 인증(bios) 키 확인 - rw everything  (0) 2024.01.31
mstsc 제한된 계정  (0) 2023.12.18
nvidia 채굴 그래픽 카드 hybrid mode  (0) 2023.07.12
win11 notepad 별루야!  (0) 2023.04.10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12. 18. 23:17

로컬에서 자기자신에게 하면 이런 에러가 발생하고

 

안드로이드 버전의 remote desktop에서 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해서 접속이 안되었는데

 

결론은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외부에서 접속이 불가능 했던 것.

그리고 로컬에서는 왜 안되었나 모르겠네. 자기 자신에게 접속하려는데 현재 콘솔이 로그아웃 상태가 아니니 안되는 건가?

 

[링크 : https://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all/microsoft-remote-desktop/0c753149-b671-45fc-a9ec-a1ad809158df]

[링크 : https://m.blog.naver.com/doksajokyo/221228085963]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7. 12. 12:24

채굴 전용 그래픽 카드의 경우 디스플레이 출력이 없는데

인텔 내장 그래픽을 통해서 출력하고, 연산은 그래픽 카드가 하는 식으로

약간의 성능 하락은 있지만 사용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기술을 쓰는지 궁금해서 조사

 

NVIDIA® Nsight Graphics™ is able to profile and debug applications on laptops using Windows 10 Hybrid mode. In order to do so, you will need to configure your machine to use the high-performance NVIDIA GPU for NVIDIA Nsight Graphics.

[링크 : https://docs.nvidia.com/nsight-graphics/2018.4/content/nsight_graphics/setup_hybrid_mode.htm]

 

Windows 8.1 WDDM(Windows Display Driver Model) 드라이버는 통합 GPU와 불연속 GPU 간에 어댑터 간 리소스가 공유되고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GPU에서 실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운영 체제와 드라이버는 함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야 하는 GPU를 결정합니다.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hardware/drivers/display/using-cross-adapter-resources-in-a-hybrid-system]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Control\Class\{4d36e968-e325-11ce-bfc1-08002be10318} 이동
 
0000 0001 0002 각각 폴더에 EnableMsHybrid 이름으로 dword 32비트값 생성 생성후 값데이터 1로 변경
 
리부팅후 엔비디아 제어판 실행. 테스트 그래픽카드는 p106-90 3g 입니다..

[링크 : https://www.ddengle.com/ko/mining/12240170]

 

 

새로만들기 32BIT DWORD값 EnableMSHybrid 1

[링크 : https://m.blog.naver.com/dogrllee/221939026564]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 데스크톱 포트 변경하기  (0) 2024.01.15
mstsc 제한된 계정  (0) 2023.12.18
win11 notepad 별루야!  (0) 2023.04.10
7세대는 윈도우 11이 안되는 군!  (2) 2023.03.04
윈도우 시리얼 날리기  (0) 2023.02.24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4. 10. 17:10

차라리 wordpad가 나은듯..

 

바코드 리더로 대문자 + 숫자를 입력 받는데

win11 메모장에서 대소문자 오락가락, 특수문자에 매번 자릿수가 달라진다.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tsc 제한된 계정  (0) 2023.12.18
nvidia 채굴 그래픽 카드 hybrid mode  (0) 2023.07.12
7세대는 윈도우 11이 안되는 군!  (2) 2023.03.04
윈도우 시리얼 날리기  (0) 2023.02.24
WSL2에 USB 장치 연결하기  (0) 2023.01.09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3. 4. 19:08

업데이트 하는데 이상한게(?) 떠서 눌러보니

TPM이 없었나? 싶었는데 CPU가 미달이라니 -_-

 

 

8세대 부터 11 지원이라니 췟이다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hardware/design/minimum/supported/windows-11-supported-intel-processors]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idia 채굴 그래픽 카드 hybrid mode  (0) 2023.07.12
win11 notepad 별루야!  (0) 2023.04.10
윈도우 시리얼 날리기  (0) 2023.02.24
WSL2에 USB 장치 연결하기  (0) 2023.01.09
WSL 로 SSH 접속 .. 2  (0) 2023.01.09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2. 24. 16:00

관리자 권한 cmd를 열고

아래 2개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레지스트리 + 제품 키 제거하고

3번째 명령어는 제품 키를 확인한다.

C:\> slmgr /cpky
C:\> slmgr /upk
C:\> slmgr /xpr

[링크 : https://m.blog.naver.com/kangyh5/221777384991]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11 notepad 별루야!  (0) 2023.04.10
7세대는 윈도우 11이 안되는 군!  (2) 2023.03.04
WSL2에 USB 장치 연결하기  (0) 2023.01.09
WSL 로 SSH 접속 .. 2  (0) 2023.01.09
hyper-v on win home  (0) 2023.01.0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1. 9. 11:59

Virtualbox나 VMware 등을 보면

Host OS에서 인식된 USB를 Guest OS로 연결해서 넘겨줄수 있는데 그 기능을 찾는중

 

결론 : 응 안돼. 안 되는데 돼.

 

USB 디바이스 연결에 대한 지원은 WSL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오픈 소스 usbipd-win 프로젝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connect-usb]

    [링크 : https://github.com/dorssel/usbipd-win/releases]

    [링크 : https://choiseokwon.tistory.com/354]

 

virtualHere USB Server / Client로 하는 방법

[링크 : https://lab-notes.tistory.com/entry/WSL2에-USB-device-연결]]

    [링크 : https://www.virtualhere.com/windows_server_software]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세대는 윈도우 11이 안되는 군!  (2) 2023.03.04
윈도우 시리얼 날리기  (0) 2023.02.24
WSL 로 SSH 접속 .. 2  (0) 2023.01.09
hyper-v on win home  (0) 2023.01.08
첫 WSL 설치  (0) 2023.01.07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1. 9. 10:27

걍.. localhost로 접속하면 끝..

(어제 하던 그 개고생은 도대체 머였단....)

[링크 : https://netmarble.engineering/journey-to-wsl2-and-trouble-shooting/]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시리얼 날리기  (0) 2023.02.24
WSL2에 USB 장치 연결하기  (0) 2023.01.09
hyper-v on win home  (0) 2023.01.08
첫 WSL 설치  (0) 2023.01.07
휴대폰과 연결 앱 사진 저장 포맷 변경으로 인한 불편  (0) 2022.08.01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1. 8. 16:33

dism 명령을 이용하여 강제로 패키지 설치하면 가능은 한 듯.

그런데 라이선스 위반은 아닌가 싶기도 하고?

 

[링크 : https://lastcard.tistory.com/141]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2에 USB 장치 연결하기  (0) 2023.01.09
WSL 로 SSH 접속 .. 2  (0) 2023.01.09
첫 WSL 설치  (0) 2023.01.07
휴대폰과 연결 앱 사진 저장 포맷 변경으로 인한 불편  (0) 2022.08.01
dependency walker  (0) 2022.02.1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3. 1. 7. 19:58

다 해서 5분도 안걸려 설치한 느낌인데..

아무튼 기본값으로는wsl2 / ubuntu가 설치된다는 듯?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

 

C:\>wsl --install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설치 중: 가상 머신 플랫폼
가상 머신 플랫폼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설치 중: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설치 중: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설치 중: Ubuntu
Ubuntu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요청한 작업이 잘 실행되었습니다.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면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리부팅 필요하다니까 리부팅 하고 wsl 입력하니

C:\>wsl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에는 설치된 배포판이 없습니다.

'wsl.exe --list --online'을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배포판을 나열하고
 'wsl.exe --install <Distro>'를 사용하여 설치하세요.

배포판은 Microsoft Store
(https://aka.ms/wslstore)를 방문하여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Error code: Wsl/Service/CreateInstance/GetDefaultDistro/WSL_E_DEFAULT_DISTRO_NOT_FOUND

 

한 체감 10분 기다리니 아래와 같이 계정 생성을 하고

 

다른 cmd 창에서 wsl 이라고 입력하니 바로 로그인 된다.

C:\>wsl
To run a command as administrator (user "root"), use "sudo <command>".
See "man sudo_root" for details.

minimonk@DESKTOP-Q4DCTJN:/mnt/c/Users/free$

 

일단은.. 22.04가 설치되고, eth0에 못보던 아이피가 설정되는데

윈도우 쪽에서 wsl의 ssh로 접속하려면 어떤 과정이 또 필요하려나?

$ cat /etc/lsb-release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22.04
DISTRIB_CODENAME=jammy
DISTRIB_DESCRIPTION="Ubuntu 22.04.1 LTS"

$ ip a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1/128 scope host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 bond0: <BROADCAST,MULTICAST,MASTER> mtu 1500 qdisc noop state D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f6:3c:1e:e2:57:59 brd ff:ff:ff:ff:ff:ff
3: dummy0: <BROADCAST,NOARP> mtu 1500 qdisc noop state D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d2:99:9f:46:37:30 brd ff:ff:ff:ff:ff:ff
4: tunl0@NONE: <NOARP> mtu 1480 qdisc noop state D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ipip 0.0.0.0 brd 0.0.0.0
5: sit0@NONE: <NOARP> mtu 1480 qdisc noop state D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sit 0.0.0.0 brd 0.0.0.0
6: eth0: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mq state UP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00:15:5d:97:d7:20 brd ff:ff:ff:ff:ff:ff
    inet 192.168.182.99/20 brd 192.168.191.255 scope global eth0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fe80::215:5dff:fe97:d720/64 scope link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윈도우에서 ipconfig 해보니 vEthernet (WSL) 이라는 인터페이스가 생기고

192.168.176.1로 연결되도록 되나보다. 일종의 NAT 기능을 제공하는 건가?

C:\>ipconfig /all

이더넷 어댑터 vEthernet (WSL):

   연결별 DNS 접미사. . . . :
   설명. . . . . . . . . . . . : Hyper-V Virtual Ethernet Adapter
   물리적 주소 . . . . . . . . : 00-15-5D-AE-B1-6C
   DHCP 사용 . . . . . . . . . : 아니요
   자동 구성 사용. . . . . . . : 예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e529:82e:c987:9956%39(기본 설정)
   IPv4 주소 . . . . . . . . . : 192.168.176.1(기본 설정)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40.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DHCPv6 IAID . . . . . . . . : 654316893
   DHCPv6 클라이언트 DUID. . . : 00-01-00-01-2B-49-2A-0B-F8-63-3F-13-0F-1F
   DNS 서버. . . . . . . . . . : fec0:0:0:ffff::1%1
                                 fec0:0:0:ffff::2%1
                                 fec0:0:0:ffff::3%1
   Tcpip를 통한 NetBIOS. . . . : 사용

[링크 : https://bebutae.tistory.com/198]

 

그나저나 wsl guest OS는 종료가 안되는 듯?

$ sudo shutdown -h now
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Can't operate.
Failed to connect to bus: Host is down
Failed to talk to init daemon.

 

네트워크가 NAT로 기본으로 잡히는데 Virtualbox나 vmware처럼 bridge로 돌릴수도 있는데

그 작업을 하려면 Hyper-V 관리자라는게 있어야 하는 듯.

명령어 줄에서 WSL만 설치해서 그런가 의존성이 있는 관리 패키지가 없어서 그런것 같긴하네..

[링크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4995027]

[링크 : http://shaun289.blogspot.com/2020/06/wsl2-ubuntu-2004.html]

 

Hyper-V 관리자 활성화 하기(설치)

다만 Win10 Home은 Hyper-v 관리자 지원이 되지 않는 듯?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virtualization/hyper-v-on-windows/quick-start/enable-hyper-v]

 

파워셸 명령을 이용해서 방화벽 열고 포트포워딩 설정해주는 듯?

[링크 : https://jackcokebb.tistory.com/18]

 

+

wsl --shutdown

명령을 이용해서 wsl을 종료할 수 있다.

[링크 : https://sungkim11.medium.com/why-you-should-use-multiple-instances-of-same-linux-distro-on-wsl-windows-10-f6f140f8ed88]

 

+

hyper-v 관리자를 쓸 수 없다면

명령줄로 간접적으로 제어만 가능하지, 편리하게 여러개의 인스턴스를 구동하는 식으로는 사용이 쉽지 않을 듯..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 로 SSH 접속 .. 2  (0) 2023.01.09
hyper-v on win home  (0) 2023.01.08
휴대폰과 연결 앱 사진 저장 포맷 변경으로 인한 불편  (0) 2022.08.01
dependency walker  (0) 2022.02.18
winPE format  (0) 2022.02.18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