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Windows2008. 12. 26. 01:18
머하는 녀석인지 몰라도..
결론만 말하자면 이녀석을 켜 놓으면

WinXP로 설치시 하드를 인식 못한다.



확인 기종은 삼보 에버라텍 4600, SATA2 인데,
이녀석은 EIDE 용이 아닌 SATA 관련된 기능으로, BIOS 상에서도 WindowsXP 관련하여
XP 쓸경우 AHCI Support 를 Disable 하라고 해 놓았으니, 머.. 할말은 없다.

검색을 해보니

The Advanced Host Controller Interface (AHCI) is a hardware mechanism that allows software to communicate with Serial ATA (SATA) devices (such as host bus adapters) that are designed to offer features not offered by Parallel ATA (PATA) controllers, such as hot-plugging and native command queuing.

Common problems switching to AHCI under Windows

Enabling AHCI in a system's BIOS will cause a 0x7B Blue Screen of Death STOP error (INACCESSIBLE_BOOT_DEVICE) on installations of Windows XP where AHCI/RAID drivers for that system's chipset are not installed - i.e. boot failure.[citation needed] Switching the chipset to AHCI mode involves changing the BIOS settings and will not work. Usually, manual installation of new drivers is required before enabling AHCI in BIOS.[5] Alternatively, a "Repair" installation with the appropriate driver loaded during the setup process usually corrects the problem. For motherboards with more than one Sata controller (for example, some boards have Intel and Jmicron Sata controllers) another alternative is possible. The sata cable for the boot drive can be inserted into a port on one controller (which can be configured in IDE mode), allowing the machine to boot successfully with the other controller configured for AHCI mode. The AHCI drivers can then be installed in windows without difficulty before swapping the cable back.
  • For Intel chipsets (for example, Intel ICH9) drivers are available from either an OEM motherboard or computer manufacturer. For the Intel versions, the driver must be loaded before loading the OS (by pressing F6 as setup starts, then using the floppy disk when prompted).The Intel drivers will work for both XP and Vista. Also, in the case of ICH9, an unsupported method to enable AHCI on ICH9 is available.
  • When attempting to install Windows XP or a previous version on an AHCI-enabled system, setup will fail with the error message "setup could not detect hard disk drive..." since no drivers will be found for accessing the SATA controller/s. This problem can be corrected by either using a floppy disk or by slipstreaming the appropriate drivers into the Windows XP installation CD, or by turning on IDE emulation in the BIOS settings if it's available (usually labelled COMPATIBILITY or ACPI).
  • Enabling AHCI in a system with Windows Vista already installed will result in a BSoD if SATA was configured in IDE mode during Vista's installation. Before enabling AHCI in the BIOS, users must first follow the instructions found at Microsoft Knowledge Base article 922976.
  • Enabling AHCI in a system BIOS on installations of Windows XP or Windows Vista will cause SATA Optical drives to disappear. A Hotfix for Windows Vista is available under the title: "SATA optical drives are not available after you start a Windows Vista-based computer."[6] This problem was fixed in Vista SP1.

아마도 회사에서 에버라텍 4600 Vista 가 자꾸 죽는 이유가 다른게 아니라 AHCI 문제였던 것 같은데.. 부팅시에 죽는게 아니라 가동중에 이유없이(메신저 하거나, 네트워크 통해 복사 중) 죽는 것 봐서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문제일 가능성이 좀더 높아 보이지만, 테스트 기간이 짧아서 확실하게 단언하긴 힘들다.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Advanced_Host_Controller_Interface]


ACPI가 먼지 궁금해서 한번 찾아 봤다.

The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ACPI) specification is an open standard for unified operating system-centric device configuration and power management. ACPI, first released in December 1996, defines platform-independent interfaces for hardware discovery, configuration, power management and monitoring.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Acpi]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08. 12. 20. 13:31
250기가 하드를 포맷할 일이 있어서 format 명령으로 낑낑대도 되지도 않기에 구글링을 해봤더니
LinkFormatter라는 물건이 나왔다. 다운 받은 곳 조차도 출처 unknown / googling 이라서 써놨으니.. ㄱ-

아무튼 I-O Data inc. 라는 회사의 유틸리티인듯 하고, 그 홈페이지에서는
USB/e-SATA 외장 하드를 제조/판매하는 곳이라는 것 외에는 별다른 다운로드 링크를 발견하지 못했다.

사용법
외장 USB 하드를 꼽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다음-Accept-다음 하면 그냥 알아서 포맷한다.
[사용법 : http://www.ihuf.net/board/view.php?id=download_h300&no=60]


 
(2008년 12월 19일자 네이버 피시그린-카스퍼스키 바이러스 없음)

[I-O DATA : http://www.iodata.com/]



내침김에 왜! windowsXP 에서 FAT32를 대용량 읽을수는 있지만 포맷은 하지 못하게(최고 32GB)로 제한을 했는지
검색을 해봤더니 이거 뭥미 -ㅁ-?

Windows XP의 FAT32 파일 시스템 제한 사항

  • Windows XP 설치 과정에서 FAT32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32GB보다 큰 볼륨을 포맷할 수 없습니다. Windows XP는 32GB보다 큰 FAT32 볼륨을 탑재하고 지원할 수 있지만(다른 제한 사항이 있음) 설치 중에 포맷 도구를 사용하여 32G보다 큰 FAT32 볼륨을 만들 수 없습니다. 32GB보다 큰 볼륨을 포맷해야 하는 경우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포맷합니다. 또 다른 방법은 Microsoft Windows 98 또는 Microsoft Windows Millennium Edition(Me) 시동 디스크에서 시작하고 디스크에 포함된 포맷 도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Microsoft Windows 98 또는 Microsoft Windows Millennium Edition(Me) 시동 디스크를 사용하여 하드 디스크를 포맷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255867  (http://support.microsoft.com/kb/255867/KO/ ) Fdisk 도구 및 포맷 도구를 사용하여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누거나 다시 나누는 방법
    참고: Windows XP 설치 과정에서 32GB보다 큰 FAT32 파티션을 포맷하려고 하면 설치 과정의 끝부분에서 포맷 작업이 실패하고 다음과 같은 내용의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논리 디스크 관리자: 볼륨 크기가 너무 큽니다.
  • MS-DOS, Microsoft Windows 95의 원본 버전 및 Microsoft Windows NT 4.0과 이전 버전은 FAT32 파티션을 인식하지 않으므로 FAT32 볼륨에서 시작할 수 없습니다.
  • FAT32 파티션에서 (2^32)-1바이트보다 큰 파일(이 파일은 4GB보다 1바이트 작음)을 만들 수 없습니다.
  • FAT32 파일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310525  (http://support.microsoft.com/kb/310525/KO/ ) Windows XP에서 FAT32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설명
    FAT32 볼륨에서 NTFS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307881  (http://support.microsoft.com/kb/307881/KO/ ) HOWTO: Windows XP에서 FAT16 또는 FAT32 볼륨을 NTFS로 변환
    [출처 : http://support.microsoft.com/kb/314463]


    Windows XP에서 FAT32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설명
    Windows XP에는 FAT 파일 시스템의 업데이트된 버전이 들어 있습니다. 이 업데이트된 버전을 FAT32라고 합니다. FAT32 파일 시스템에서는 4KB의 작은 기본 클러스터 크기를 사용할 수 있고 2GB보다 큰 EIDE 하드 디스크 크기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하십시오.
    • Microsoft Windows 2000, Windows Millennium Edition, Windows 98 및 Windows 95 OSR2 또한 FAT32 파일 시스템을 지원합니다.
    • Microsoft Windows NT 4.0은 FAT32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Windows NT 4.0에서 지원되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00108  (http://support.microsoft.com/kb/100108/KO/ ) FAT, HPFS 및 NTFS 파일 시스템의 개요

    지원 제한 사항

    FAT32 볼륨에 설치할 수 없거나, 파일을 제대로 저장하거나 읽지 못하는 레거시(이전)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 제조업체에 문의하십시오.

    참고: FAT32 파일 시스템이 하드 디스크를 최대 2테라바이트 크기까지 지원하지만 해당 시스템의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INT13 인터페이스의 제한 사항으로 인해 일부 하드 디스크는 7.8GB보다 큰 부팅 가능한 파티션을 포함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해당 시스템의 BIOS가 업데이트된 INT13 확장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려면 하드웨어 제조업체에 문의하십시오.

    Windows XP에서 ATAPI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48비트 논리 블록 주소 지정 지원을 설정하는 방법

    본 문서에서는 현재의 137GB 한도보다 크게 하드 디스크 용량을 늘릴 수 있는 ATA Packet Interface(ATAPI)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Windows XP 서비스 팩1(SP1) 48비트 논리 블록 주소 지정(LBA) 지원에 대해 설명합니다.

    참고 Windows XP SP1을 실행하지 않으면 Windows XP에서 48비트 LBA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48비트 LBA 지원을 사용하려면 Windows XP SP1 이상을 적용해야 합니다. 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및 Windows XP Tablet PC Edition에는 SP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indows XP의 최신 서비스 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322389  (http://support.microsoft.com/kb/322389/ ) 최신 Windows XP 서비스 팩을 구하는 방법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08. 12. 18. 14:04
    회사에 새로 오신분이 계셔서 TG 에버라텍 4600 을 샀는데...

    오피스 깔고 패치 하고 나서 프린터 잡을려고 SAMBA 서버에 접속해서 파일을 복사 하는데

    갑자기 블루 스크린...


    이거 뭥미 -ㅁ-!?






    오늘 다시 출근 하셔서 하시는 말씀이

    "애들이 어제 쥬니버에서 게임하고 그랬는데 갑자기 블루 스크린이 떳다"



    그래서 에버라텍과 비스타 블루 스크린을 검색하니 의외로 도움 되는 내용은 없었다.

    아무튼 dump 파일을 보니 두개(덧. c:\windows\minidump 가 crash dump 파일 기본 위치임)

    하나는 어제 발생한 것이라서 파일 명이 Mini121708-01.dmp인데 Mini112808-01.dmp는 뭐지 -ㅁ-?
    최초 설치 하고도 삼보에서 한번 죽었는데 그걸 그냥 판건가? -ㅁ-!


    아무튼 덤프 파일은 WinDbg 를 이용하여 분석하면 된다고 해서 MS 사이트에서 받아서 돌렸는데
    결과는

    Mini112808-01.dmp
    Probably caused by : dxgkrnl.sys ( dxgkrnl+3d8b )

    Mini121708-01.dmp
    Probably caused by : NETIO.SYS ( NETIO+835b )


    아마도 2008년 11월 28일은 삼보에서 제조 하면서 설치 중에 발생한 듯 하고,
    이름만 봐서는 directX 관련 오류 인데..

    2008년 12월 17일 오류는 조금 검색을 더 해보니
    NETIO.SYS 관련 hotfix가 있다고 한다. [hotfix download]
    [출처 : http://forum.soft32.com/windows/Netio-SYS-Errors-ftopict341619.html]


    결론은.. 뽑기 운이 안 좋은 것 일려나..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08. 12. 8. 21:24
    USB를 통해서 전파되는 악질적인 녀석으로...
    인터넷이 느려진거 같길래 백신돌려도 잘 안나오고.. 아무튼 간만에 전체 파일 검사를 했더니 겨우겨우 잡는다.

    c:\windows\boot.ini <- visual basic script 임
    c:\windows\.MS32DLL.DLL.VBS
    c:\autorun.inf

    총 3개가 생성이 된다. USB의 경우에는
    f:\windows\.MS32DLL.DLL.VBS
    f:\autorun.inf
    가 생성이 된다.

    아무튼 지워고 나서 발생하는 에러로는
    먼가 정상적인 에러 같은데 boot.ini 라고 하길래 c:\boot.ini를 복사 하면되는 줄 알았더니

    라는 에러를 밷어 낸다. 이거 뭥미? 그 boot.ini가 그 boot.ini가 아닌건가?!

    그래서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msconfig를 사용하라고 해서 봤더니
    이름 없는 녀석 .MS32DLL.dll.vbs 라는 녀석과 wscript.exe 라는 녀석이 생겼다.
    이런 이유로 boot.ini를 요구 하는데, 상당히 교묘한 녀석으로 boot.ini 라는 파일이 존재는 하지만 c:\windows에
    원래 존재 하지 않는 파일이며, 이름이 그럴싸 한 이유로 어느정도 컴퓨터를 아는 사람이라고 해도
    확실하게 윈도우에 어떤 파일이 어디에 존재 하는지 모르면 속을 만한 고단수 바이러스다.

    결론 : USB는 반드시 왼쪽 shift를 누르고 꼽아서 자동실행을 방지하자!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