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Windows2014. 5. 7. 02:43
아.. 이걸 이제야 써보다니 ㅠㅠ
현재 사용중인 녀석은 SD 메모리인데
기본값인 FAT32로 포맷되다 보니 레디 부스트 최대 용량이 4기가로 잡힌다
이는 FAT32에서의 최대 단일 파일 용량인 4GB의 제한에 걸리는 것이고

레디부스트는 최대 32GB까지 된다고 하니
16GB SD 메모리의 경우는 NTFS로 포맷후 다시 레디 부스트 잡아게 되면
대략 14기가 짜리(15,654,912KB /15288MB) 파일이 생성된다,.

아직 사용시간이 길지 않아 복사되는게 별로 없는것 같긴한데..
fat32로 사용중인 녀석은 바로 포맷하려 하면 아무래도 superfetch에 의해서 잡혀 있어
포맷이 안되므로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리부팅 후에 포맷을 하고
다시 설정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포맷후 superfetch를 살려주니
무언가 열심히 SD 메모리로 복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리소스 모니터 상의 파일 정보)

[링크 : http://bezzera.tistory.com/40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4. 5. 5. 17:12
걱정(?)했지만 의외로 싱거운 기능
그냥 바로 알아서 생성하되
boot 영역과 각종 데이터 파일이 다 생성이 되기에
가장 용량이 큰 메인 하드의 vhd만 빼서 사용하면 된다.

vhd를 만들기 위해 관리모드로 리부팅 안해도 되는게 최고 장점인 듯

[링크 :  http://snoopybox.co.kr/1608]
2014/04/29 - [Microsoft/Windows] - win7 로컬설치를 vhd로 옮기기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4. 5. 4. 19:50
윈도우 업데이트 백업과 서비스팩 백업 파일 두가지 지우니
대략 4기가 정도 공간이 확보된다 ㄷㄷㄷ


[링크 : http://mastmanban.tistory.com/830]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4. 4. 29. 17:31
나중에 해봐야지

[링크 : http://cappleblog.co.kr/365]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를 vhd로 변환하기 - 윈도우 백업기능  (0) 2014.05.05
윈도우 업데이트 백업 삭제하기  (2) 2014.05.04
굿바이 XP  (0) 2014.03.11
vhd 용량 늘리기  (0) 2014.02.03
vhd 관련 링크 모음  (0) 2014.01.29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4. 3. 11. 12:26
간만에 노트북 켜니 이런게 뜨네?
정말 이렇게 XP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리가 있나 -_-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업데이트 백업 삭제하기  (2) 2014.05.04
win7 로컬설치를 vhd로 옮기기  (0) 2014.04.29
vhd 용량 늘리기  (0) 2014.02.03
vhd 관련 링크 모음  (0) 2014.01.29
vhd extendable과 fixed의 차이점?  (0) 2013.10.27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4. 2. 3. 22:34
60GB 로 해놨떠니 은근 적은 느낌이라
조만간 늘려야 하지 않을까 싶어서 링크..

[링크 : http://snoopybox.co.kr/1553]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7 로컬설치를 vhd로 옮기기  (0) 2014.04.29
굿바이 XP  (0) 2014.03.11
vhd 관련 링크 모음  (0) 2014.01.29
vhd extendable과 fixed의 차이점?  (0) 2013.10.27
윈7 VHD로 설치하기 / VHD로 전환하기  (0) 2013.10.25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4. 1. 29. 22:53
이제 이정도만 하면 더이상 정리할게 없으려나..

Shift-F10

bcdedit /set {current} recoverysequence {UUID}
+ vhd 부팅시에는 별도로 설정을 해야 한다고 함
[링크 : http://snoopybox.co.kr/1149 ] 복구모드 추가하기

[링크 : http://snoopybox.co.kr/1176] 증가분 vhd 만들기 - child vhd

기존 사용중인 vhd 파일을 단순복사후 bcdboot 해주는 것만으로는
boot flag가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disk 0(c 드라이브)의 0번 파티션을 부트 가능하도록 active 해줘야 하는것으로 생각된다.
혹은.. bcdboot를 내가 잘못 입력했거나?
diskpart
> sel disk 0
> sel partition 0
> active

> sel vdisk file=c:\filename.vhd
> attach vdisk
> sel par 1
> ass letter=z
> exit

bcdboot z:\windows /s c: /l ko-kr


[링크 : http://liverex.tistory.com/270] vhd로 백업 및 백업된 vhd로 새로운 하드에 OS 부팅 시키기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3. 10. 27. 23:01
처음에 extendable로 만들어 설치했더니
bcdedit로 출력했을때
device 항목에 vhd=[C:]\win7.vhd 이런식으로 나오더니

[링크 : http://maximer.tistory.com/324]

fixed로 바꾸고 다시 설정해주니
device                  partition=C:
path                    \windows\system32\winload.exe 

partition=C:
이렇게 그냥 일반 파티션 처럼 인식한다.

물론 컴퓨터 관리에서 디스크를 보면 vhd인건 맞는데..
이게 fixed와 extendable의 차이인지 나의 실수인지 모르겠다는 건 함정..

그리고 IDE 하드에서 extendable로 하니 좀 많이 느린 느낌..
그래서 fixed로 전환했는데.. 다시 한번 extendable로 변환해서 해봐야겠다...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hd 용량 늘리기  (0) 2014.02.03
vhd 관련 링크 모음  (0) 2014.01.29
윈7 VHD로 설치하기 / VHD로 전환하기  (0) 2013.10.25
intel 3945abf / winXP 32bit SP2 에서 WPA2PSK 안되는 문제  (0) 2013.03.20
embed와 iframe  (0) 2013.02.25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3. 10. 25. 20:46

[링크 : http://liverex.tistory.com/270] 전환
[링크 : http://snoopybox.co.kr/852] 설치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3. 3. 20. 00:58
드라이버 문제 보다는 윈도우 자체 문제인듯.
SP3를 대개 설치하고 써서 몰랐는데..
SP2 이후의 업데이트로 추가되어 SP2 인 노트북에서는 WPA2PSK를 인식못하고 WEP로 설정하는 문제가 있다.

[링크 : http://forums.lenovo.com/.../Intel-Pro-wireless-3945ABG-and-WPA-2-Question/td-p/216019]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893357]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hd extendable과 fixed의 차이점?  (0) 2013.10.27
윈7 VHD로 설치하기 / VHD로 전환하기  (0) 2013.10.25
embed와 iframe  (0) 2013.02.25
Internet Explorer 64bit / 32bit 구분하기  (2) 2012.11.02
이걸 우찌 해결해야하나  (2) 2012.10.02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