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SVN의 경우는 TortoiseSVN만으로도 서버를 구축 할 수 있다.
물론 svn:// 으로 접속은 하지 못할지라도 말이다(아직 설정법을 모르니 혹시 모름)
아무것도 없는 빈 폴더를 하나 만들고, 그 안에서 Create repository here를 눌러준다.
d:\svn_repo 라는 경로로 생성했다.
위에서 d:\svn_repo에 저장소를 생성했으므로 file://d:/svn_repo가 URL이 된다.
(repository에 파일이 Add 되었다)
경로는 저장한 경로와 동일하게 넣어 주고, 받아와서 저장할 경로를 지정해 준다.
아까는 경로를 지정해 주지 않았으므로 받을 곳에 디렉토리를 하나 추가해준다.
빨간색은 서버와 동일하지 않은 내용이 담겨 있다는 의미이다.
원래 file://d:\svn_repo에 존재하던 po 파일들을, Create Folder를 사용하여 po를 만들고
단순하게 드래그 해서 po로 넣었더니 간단하게 이동이 되었다.
CVS는 경로이동이 불가능 한 단점이 있는데 SVN은 이렇게 편하게 이동 할 수 있다.
revision은 cvs는 파일별로 생겼지만, svn은 전체 저장소에 대해서 생성이 된다.
어떻게 보면 더욱 좋은것이, 태그의 확장 판으로 어떠한 행동을 했었는지 추적이 가능하고
그 때 이후의 버전을 세부적으로 받아 올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CVS에서는 매번 tag를 해야만 가능하다.
예전부터 설치만 해 놓고 쓰지 않던 svn을 끄집어 내서 한번 서버 설치를 해보려니 결국은 또 실패로 돌아 갔다.
하지만 이렇게 클라이언트/ 개인용 서버로 사용하는 법이라도 알았으니 위안으로 삼고,
다음번 문서에 svnserve로 공용 서버 만드는 법만 추가 하면 될 듯하다.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사용기 (0) | 2009.03.05 |
---|---|
windows에 SVN 서버 설치하기 (make a svn server on windows and connect using svn:// protocol) (6) | 2009.02.26 |
TortoiseSVN - Svnserve Based Server (5) | 2009.02.26 |
cvs 서버 설치 / 복원 (2) | 2009.01.22 |
TortoiseCVS - CVS client for windows (0) | 2008.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