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6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보니 모호한 용어들이 속출한다 -_-
난 이곳을 나가야겠어!!! 으아!!!!! OTL 이런 느낌이랄까 -_-
아무튼 MAC 어드레스는 48비트이며 "00-11-22-AA-BB-CC"의 포맷으로
IPv4 어드레스는 32비트이며 "192.168.0.1" 의 포맷으로
IPv6 어드레스는 128비트이며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의 포맷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MAC 어드레스는
OUI와 NIC 어드레스(혹은 MAC)으로 나누어지며, 48비트로 표기되는 EUI-48 표현법을 따른다.
MAC은 내용에 대한 것이고, EUI는 표기법에 대한 것으로 생각된다.(아님말구! OTL)
The distinction between EUI-48 and MAC-48 identifiers is purely semantic: MAC-48 is used for network hardware; EUI-48 is used to identify other devices and software. (Thus, by definition, an EUI-48 is not in fact a "MAC address", although it is syntactically indistinguishable from one and assigned from the same numbering space.) |
MAC-48을 EUI-64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16비트가 필요한데
IEEE 표준에 의해 OUI의 뒷부분에 FF를 추가, NIC 주소의 앞부분에 FE가 추가된다.
[링크 : http://packetlife.net/blog/2008/aug/4/eui-64-ipv6/] [링크 : http://standards.ieee.org/develop/regauth/tut/eui64.pdf] |
머, 아무튼 대충 정리하자면 IPv6로 간다고 해서 굳이 MAC 어드레스 역시 확장될 필요는 없지만
IPv6의 사용을 위해 MAC-48은 기존의 EUI-48에서 EUI-64로 확장되어야 한다.(왜 굳이 확장하려나? 비트수 맞추기?)
이는 MAC 어드레스가 늘어나는 것이 아닌 표현방법이 달라질 뿐이다.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응 로드 밸런싱(Adaptive Load Balancing - ALB) (2) | 2011.02.20 |
---|---|
vlan (3) | 2011.02.14 |
EUI-48, MAC-48, EUI-64, IPv6 (2) | 2011.02.06 |
NIC teaming + spanning tree (0) | 2011.02.06 |
NIC Teaming + 점보 프레임 활성화 관련 (0) | 2011.02.06 |
VPN 장비 (2) | 2011.01.23 |
댓글을 달아 주세요
EUI-64로 맞춘다고 하기 보다는 통일한다고 하는 게 맞는 표현일 것 같습니다. NIC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이더넷도 그중 하나죠. 다른 종류의 NIC까지도 뭔가 통일된 식별자를 쓰기 위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보면 될 것 같아요. ^^
2011.02.10 08:16 [ ADDR : EDIT/ DEL : REPLY ]참 다방면에 관심이 많으신거 같습니다.ㅋㅋ 여기 올 때마다 좋은 글 많이 보고 갑니다.^^
다방면에 관심이 많을수도 있고,
2011.02.10 23:18 신고 [ ADDR : EDIT/ DEL ]다르게 말하면 하나의 제품을 만드는데 이정도는 알아야 제대로 만드는 거라고 할 수 있으니 말이죠 ^^;
주먹구구식으로 만들기 보다는 원리를 알고 싶어하는 저의 성격 탓입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