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buntu2009. 4. 30. 23:08
1. cvs와 svn을 설치한다.
a. cvs 설치
$ sudo apt-get install cvs
$ sudo apt-get install xinetd
b. svn 설치
$ sudo apt-get install subversion
c. cvs2svn 설치
$ sudo apt-get install cvs2svn
d. htpasswd 설치 (cvs 계정에 사용할 암호 생성용)
$ sudo apt-get install apache2-utils

2. 일단 cvs와 svn을 위해서 계정을 추가한다.
    "시스템 - 관리 - 사용자와 그룹" 을 이용하여 cvssvn사용자를 추가하고 그룹을 사용자 그룹과 동일하게 해준다.
    그리고 보안을 위해서 로그인은 /usr/sbin/nologin으로 해준다. (페도라는 경로가 다르다. /sbin/nologin 에 존재한다.)
a. cvs는 /home/cvs를 생성하고
b. svn은 홈디렉토리를 생성하지 않는다.

3. 그리고 리파지터리를 생성한다.
a. cvs는 $ sudo cvs -d /home/cvs init
b. svn은 $ sudo svnadmin create --fs-type fsfs /home/svn/repos

4. 한번 시험적으로 체크아웃을 해본다. 현재 생성된 내용에는 계정 정보등의 환경설정만 존재한다.
a. cvs는
$ export CVSROOT=/home/cvs
$ sudo cvs co ./
b. svn은
$ svn co file:///home/svn/repos

5. 데몬 구동
a. cvs는 xinetd를 위한 cvs 파일을 생성한뒤, xinetd 서비스를 재시작한다.
    /etc/xinetd.d/cvs 파일의 server_agrs에서 빨간색은 cvs 홈디렉토리이다.
    설치시 cvs -d /home/cvs init 으로 설정한 CVSROOT 위치를 기입해준다.
$ sudo service xinetd restart 혹은
$ sudo /etc/init.d/xinetd start

$ cat /etc/xinetd.d/cvs
service cvspserver
{
     port = 2401
     socket_type = stream
     protocol = tcp
     user = root
     wait = no
     type = UNLISTED
     server = /usr/bin/cvs
     server_args = -f --allow-root /home/cvs pserver
     disable = no
}


b. svn은 svnserve를 기동한다. 데몬 구동시 -r(repo.)의 경로는 create시의
    sudo svnadmin create --fs-type fsfs /home/svn/repos 로 설정된 SVNROOT의 위치를 기입해준다.
$ svnserve -d -r /home/svn

Step 1 - Create your script.
Simply create a new file (I called mine svnserve) and type the command you’d like to run

cd /etc/init.d/ # (thanks Alfonso)
sudo vi svnserve
svnserve -d -r /home/svn/

Step 2 - Save the script in the /etc/init.d/ folder

Step 3 - Make the script executable
sudo chmod +x svnserve

Step 4 - Add the script to the boot sequence
sudo update-rc.d svnserve defaults

[링크 : http://benrobb.com/2007/01/15/howto-start-subversion-at-boot-on-ubuntu/]

6. 사용자 설정
a. cvs는 /home/cvs/CVSROOT/passwd생성해야 한다.

$ htpasswd
Usage:
        htpasswd [-cmdpsD] passwordfile username
        htpasswd -b[cmdpsD] passwordfile username password

        htpasswd -n[mdps] username
        htpasswd -nb[mdps] username password
 -c  Create a new file.
 -n  Don't update file; display results on stdout.
 -m  Force MD5 encryption of the password.
 -d  Force CRYPT encryption of the password (default).
 -p  Do not encrypt the password (plaintext).
 -s  Force SHA encryption of the password.
 -b  Use the password from the command line rather than prompting for it.
 -D  Delete the specified user.
On Windows, NetWare and TPF systems the '-m' flag is used by default.
On all other systems, the '-p' flag will probably not work.

/home/cvs/CVSROOT 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수행한다.
$ htpasswd -c passwd [userid]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Adding password for user [userid]

다음 유저 추가시에는 -c를 제외하고 수행한다.
$ htpasswd passwd [userid]


b. svn은 /home/svn/conf/passwd수정해야 한다.

$ more /home/svn/conf/passwd
### This file is an example password file for svnserve.
### Its format is similar to that of svnserve.conf. As shown in the
### example below it contains one section labelled [users].
### The name and password for each user follow, one account per line.
[users]
# harry = harryssecret
# sally = sallyssecret
userid = passwd   # 이부분에 사용자 계정과 암호를 추가한다.

svn의 암호는 평문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보안에 주의를 해야한다.
이것에 싫다면 svn+ssh나 apache를 이용하여 보안에 신경을 쓰도록 하는 것이 좋다.

2009/01/22 - [프로그램 사용/SVN/CVS] - cvs 서버 설치 / 복원
2009/02/26 - [프로그램 사용/SVN/CVS] - windows에 SVN 서버 설치하기
2009/05/10 - [프로그램 사용/SVN/CVS] - cvs2svn 사용방법

[링크 : https://help.ubuntu.com/8.04/serverguide/C/version-control-system.html]
[링크 : https://help.ubuntu.com/8.04/serverguide/C/cvs-server.html]
[링크 : https://help.ubuntu.com/8.04/serverguide/C/subversion.html]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에서 compiz 돌리기  (2) 2009.06.02
우분투에는 iptable 대신 ufw가 있다!  (2) 2009.05.07
ubuntu 내장 VNC 서버 - vino-server  (0) 2009.04.30
삼바 설치하기  (0) 2009.04.29
ubuntu 9.04로 업그레이드  (0) 2009.04.28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30. 15:03
페도라에서는 /etc/sysconfig/vncserver에 설정파일이 있었는데
ubuntu에서는 이 파일이 존재 하지 않고 vnc가 구동이 되길래 어떤걸로 구동이 되나 궁금해서
프로세스를 찾아 보니 vino-server라는 것이 존재했다.

일단 이녀석을 찾아 보니.. 2005년 KDLP문서에도 발견되는거 봐선... 오래전부터 있어왔던것 같다.
Gnome에 통합된 VNC라고 한다.

[링크 : http://kldp.org/node/55005]

그리고 앞의 문서에서 내가 5900 외에 다른 포트로 사용했는데, 원래 의도한 방법과는 너무 다르게 사용한것 같다.
원래 의도는 VNC가 가지는 보안상의 헛점으로 인해 ssh tunnelling을 이용하여 localhost:0으로 접속을 하도록
한것인데, 이게 귀찮아서 그냥 바로 VNC로 접속하도록 설정을 하고 쓰고 있다.

[링크 :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linux-desktop-74/how-to-configure-vino-server-561753/]

vino-server를 콘솔에서 직접 명령어로 제어하는 것에 대한 문서이다

I suppose the settings in /etc/gdm/gdm.conf-custom override those in /etc/gdm/gdm.conf
You are perfectable capable of setting each value in the
/home/<userhomedir>/.gconf/desktop/gnome/remote_access/%gconf.xml file manually using the gconftool-2 command.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266981]



가장 왼쪽패널이 Vino-server 패널의 아이콘
vino-server로 vnc 접속시 나타나는 메시지.

[vino-server 공식? : http://vino.klik.atekon.de/]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에는 iptable 대신 ufw가 있다!  (2) 2009.05.07
ubuntu에 cvs / svn 설치하기  (0) 2009.04.30
삼바 설치하기  (0) 2009.04.29
ubuntu 9.04로 업그레이드  (0) 2009.04.28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9. 23:17
우분투에는 삼바가 기본 설치 되어 있지 않다
(8.10 이라서 그런가.. 아무튼 데스크탑 에디션은 기본으로 설치 되어 있지 않았다)

그런 이유로 설치 방법을 찾았는데..

삼바 서버
$ sudo apt-get install samba

삼바 클라이언트
$ sudo apt-get install smbfs

[링크 : http://sec.tistory.com/entry/ubuntu-samba-%EC%84%A4%EC%B9%98]

위의 명령어를 치면 된다고 한다.


근데.. 귀찮아서 -ㅁ-
아래와 같이 설치를 했다.

프로그램 설치/제거에서 samba로 검색을 한다.
원래 패키지는 system-config-samba로 gnome에서 GUI로 설정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로인해, 의존성으로 줄줄이 설치되게 된다.

다운로드 받은 패키지 목록이다.
samba가 4.5MB 정도로 거대하게 포함되어 있다.

보시다시피 "전에 선택하지 않은 samba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설치된 녀석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내용이 나온다.
공유를 만들기 위해서는 공유 추가를 눌러준다.

디렉토리는 공유할 디렉토리의 경로
공유명은 윈도우에서 볼 공유 폴더의 이름이다.
그리고 아래의 쓰기 가능, 보이기를 체크 해준다.

아무나 사용하게 하려면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허가를 선택한다.

윈도우에서 접속한 화면이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에 cvs / svn 설치하기  (0) 2009.04.30
ubuntu 내장 VNC 서버 - vino-server  (0) 2009.04.30
ubuntu 9.04로 업그레이드  (0) 2009.04.28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8. 00:04
음.. 아직까지는 괜찮겠군

오늘.. 잠자리에 들기는 글른건가?


멀 이리도 많이 삭제하려는건지 모르겠다만.. 웬지 보기에는.
필요 없는데 내가 설치를 한 녀석들 같은 느낌.. 자동으로 삭제 해주는 착한 센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내장 VNC 서버 - vino-server  (0) 2009.04.30
삼바 설치하기  (0) 2009.04.29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Ubuntu에 VNC 설정하기  (0) 2009.04.25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7. 00:39
gnome-avrdude을 컴파일 하려면 이러한 에러가 발생한다.

checking for GNOME... configure: error: Package requirements (libgnome-2.0 libgnomeui-2.0 libglade-2.0 ) were not met:

No package 'libgnome-2.0' found
No package 'libgnomeui-2.0' found
No package 'libglade-2.0' found

Consider adjusting the PKG_CONFIG_PATH environment variable if you
installed software in a non-standard prefix.

Alternatively, you may set the environment variables GNOME_CFLAGS
and GNOME_LIBS to avoid the need to call pkg-config.
See the pkg-config man page for more details.

아무튼 여기에 없는 패키지는 아래의 것을 시냅틱 패키지 매니저에서 설치하면 된다.
libgnomeui-dev


아무래도.. 페도라에 익숙해져 있다 보니
dev 라는 접미어가 가지는 어감을 전혀 생각해보지를 못했다.(어쩌면.. 수면부족이라 그럴지도..)


사족 : 그냥 우분투에서 이녀석을 컴파일하기 위해서는
YACC와 위의 라이브러리가 필요한데, YACC는 bison으로 설치하면 된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바 설치하기  (0) 2009.04.29
ubuntu 9.04로 업그레이드  (0) 2009.04.28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Ubuntu에 VNC 설정하기  (0) 2009.04.25
kscope on Ubuntu 8.10  (0) 2009.04.24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6. 10:54
우분투의 장점
누군가가 미리 만들어 놓은 패키지가 존재한다면 컴파일러도 설치할 필요도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우분투의 단점
누군가가 미리 만들어 놓은 패키지가 없다면 컴파일하기 너무 힘들다.


avrdude 컴파일 하려니 yacc없다고 하고(sudo apt-get bison)
그래서 깔고 했더니 sed가 오작동하고.. 그래서 찾아 봤더니 패키지가 존재해서 설치하고(sudo apt-get avrdude)
gnome-avrdude는 존재하지 않아 컴파일하려니 각종 에러가 발생한다 ㄱ-

아무튼.. 개발에 있어서는 확실히 페도라가 편한거 같기도 하고 아니거 같기도 하고..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9.04로 업그레이드  (0) 2009.04.28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에 VNC 설정하기  (0) 2009.04.25
kscope on Ubuntu 8.10  (0) 2009.04.24
우분투 설치중  (6) 2009.04.24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5. 00:42
X11이 가동중이라면(다르게 말해서 Gnome이나 KDE 등이 실행중이라면, 혹은 runlevel이 5라면)
localhost:0.0 은 사용중이므로 사용할 수가 없다.
(그러니까 기본값인 5900은 실질적으로 X윈도우가 기본 구동되는 우분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다른 포트로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시스템 > 기본 설정 > 원격 데스크탑 설정을 눌러주면 아래와 같이 실행된다.

공유에서 다른 사용자가 데스크탑을 볼 수 있도록 합니다.
다른 사용자가 데스크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를 체크해준 후
아래의 확인을 하도록 물어보기는 끄고, 사용자가 이 암호를 입력하여야 합니다 를 체크하고 암호를 입력해줍니다.


그리고 고급 탭에서는
보조 포트 사용을 해준다음, 5901이나 5902등, 5900번을 피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로컬 연결만 허용은, SSH 터널링 등을 통해서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그냥 vnc로 바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체크를 꺼주어야 합니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kscope on Ubuntu 8.10  (0) 2009.04.24
우분투 설치중  (6) 2009.04.24
ubuntu 8.10 설치 실패.. 아놔 CD 관리 ㅠ.ㅠ  (2) 2009.04.23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4. 01:32
kate 패키지가 패키지 매니저에서 제대로 설치 되지 않기 때문에
kscope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

그런 이유로 아래의 패키지를 받아서 설치 해야 한다.

kate_3.5.9.dfsg.1-6_alpha.deb 822 KB 2008년 12월 16일 18시 32분 00초
kate_3.5.9.dfsg.1-6_amd64.deb 819 KB 2008년 12월 05일 00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arm.deb 773 KB 2008년 12월 05일 21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armel.deb 778 KB 2008년 12월 04일 23시 47분 00초
kate_3.5.9.dfsg.1-6_hppa.deb 840 KB 2008년 12월 09일 06시 47분 00초
kate_3.5.9.dfsg.1-6_i386.deb 806 KB 2008년 12월 03일 21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ia64.deb 919 KB 2008년 12월 04일 06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mips.deb 769 KB 2008년 12월 04일 09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mipsel.deb 763 KB 2008년 12월 04일 21시 32분 00초
kate_3.5.9.dfsg.1-6_powerpc.deb 822 KB 2008년 12월 04일 14시 02분 00초
kate_3.5.9.dfsg.1-6_s390.deb 829 KB 2008년 12월 04일 11시 17분 00초
kate_3.5.9.dfsg.1-6_sparc.deb 790 KB 2008년 12월 04일 21시 32분 00초

[링크 : ftp://ftp.debian.org/debian/pool/main/k/kdebase/]

나의 경우에는 펜티엄4 이므로 i386을 설치 하면된다.

$ file /usr/local/lib/*
libkateinterfaces.so.0:     symbolic link to `libkateinterfaces.so.0.0.0'
libkateinterfaces.so.0.0.0: ELF 64-bit LSB shared object, x86-64, version 1 (SYSV), dynamically linked, stripped
libkateutils.so.0:          ELF 64-bit LSB shared object, x86-64, version 1 (SYSV), dynamically linked, stripped
python2.5:                  setgid directory

i386 패키지를 섩치하면 x86-64 버전으로 설치가 된다.


그리고  kscope를 실행하면~


쨔잔~ 이렇게 나온다(아직 쓸줄은 모른다 ㅠ.ㅠ)


[발견 : http://mtsparrow.blogspot.com/2009/02/ubuntu-810-64bit-kscope.html]
[원본 : http://blog.naver.com/sglinux2418/60214557]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Ubuntu에 VNC 설정하기  (0) 2009.04.25
우분투 설치중  (6) 2009.04.24
ubuntu 8.10 설치 실패.. 아놔 CD 관리 ㅠ.ㅠ  (2) 2009.04.23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4. 00:52

페도라를 쓰다가 처음으로 우분투를 설치해봤다.
예전에는 항상 USBLive로만 했는데, 처음으로 정식 설치를 했다.

일단 될지 안될지 모르지만, KCachegrind를 설치 하기 위해서 패키지 매니저에서 업데이트를 했는데...
페도라에서는 거의 CPU 가 항상 90에서 100%를 찍었는데(yum을 통한 업데이트시)
우분투는 평균적으로 50% 정도를 찍는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플래시도 잘나오고 ... 이거 물건이잖아! 라는 느낌 -ㅁ-!


그런데.. 페도라에서 너무 익숙해져 있어서였는지 모르겠지만...
tree라던가 mc 라던가 디렉토리 구조라던가 너무 달라서 적응이 안된다.
desktop을 지향하면서 만든 ubuntu의 한계라고 할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페도라에서 있던 웬만한 명령어들이
웬만해서는 다 안된다는 건 참... 답답하다고 해야 하나..
아무튼 익숙해져 봐야겠다.. OTL


예상대로.. kscope는 libkateinterface.so.0 가 없다고 안된다.. 머.. 보나마나 강제로 연결해줘도 버전 문제로
안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니.. 이거참... KDE 3.3을 어떻게 설치 해야 하나?

meld는 요렇고롱 잘되고

Kcachegrind도 잘되는데

왜...!!! Kscope만 안될까 ㅠ.ㅠ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Ubuntu에 VNC 설정하기  (0) 2009.04.25
kscope on Ubuntu 8.10  (0) 2009.04.24
ubuntu 8.10 설치 실패.. 아놔 CD 관리 ㅠ.ㅠ  (2) 2009.04.23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09. 4. 23. 01:07
어제는 우분투 8.10 바람이 불어서 설치 해볼려고 했더니..
32% 에서 cd 못 읽는다고 배째는 센스.. OTL
하도 굴렸더니 그러려니 해야지머... (CD가 없어서 DVD로 구웠는데 ㅠ.ㅠ)

아무튼 LiveCD 모드로 구동되서 확인해본 패키지 모음들

KCachegrind - Valgrind의 GUI 버전이라고 해야 하나.. 프로파일링쪽이다.

Kscope - 이녀석은 소스 분석쪽이다. 리눅스 계의 Source Insight라고 해야 하나?
Cscope의 GUI 버전

Meld - Python 기반의 비교툴. Araxis 보다 더 좋아 보인다 ㅠ.ㅠ

시냅틱 패키지 매니저 에서 컴파일러 모음
build-essential 이거 하나면 전부 설치 된다고 한다.


개고생하면서 계속 실패 중인... Kscope와 KCachegind 그리고 Meld...
이렇게 쉽게 할 수 있다는 사실에 오~ 초~~~ 쇼크~ OTL

우분투로 바로 전향 고고싱?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me-avrdude 컴파일하기  (6) 2009.04.27
ubuntu와 fedora의 비교  (0) 2009.04.26
Ubuntu에 VNC 설정하기  (0) 2009.04.25
kscope on Ubuntu 8.10  (0) 2009.04.24
우분투 설치중  (6) 2009.04.24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