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VLC2010. 1. 12. 01:14
VLC에서는 웹캠을 입력장치로(캡쳐장비) 인식한다.
입력받은 영상을 파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transcoding을 통해 저장하면 된다.
솔찍히 Amcap 등에 비하면 불편한 면이 없진 않다.


Step 1. 미디어 - 변환/저장 메뉴를 누른다.


Step 2. 갈무리 장치에서 웹캠을 선택하고 변환/저장을 누른다.


Step 3. 반드시 출력 표시를 체크하고 저장할 파일 이름을 고른후 저장할 포맷을 골라준다.
           (출력 표시를 누르지 않으면 화면은 스트리밍 하듯 아무런 화면도 나오지 않으니
           되도록이면 반드시 출력 표시를 설정하고 녹화를 하는것이 유리하다)


Step 4. 저장할 파일의 코덱은 귀찮으면 무난한
           Video - WMV + WMA(ASF)나
           Video - DIV3 + MP3(ASF)로 하면 용량도 적고 쓸만하다.


---

2015.02.17 추가

오랫만에 보니 UI가 꽤나 바뀌엇네...

이전과 거의 동일한데 마지막 단계에서 파일로 저장하기가 기존의 UI와 통합되었다


스트림 출력에서 Next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새 대상에 파일이 뜨고 추가를 눌러주면

찾아보기를 통해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면 된다.

트랜스코딩이야 마음이지만.. cpu 성능을 꽤나 잡아 먹기에

되도록이면 MPEG TS부터 조금씩 CPU를 많이 먹는 녀석으로 한단계씩 올려보는 것이 좋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10. 1. 6. 11:26

http://m.youtube.com/ 에서 임의의 파일을 재생하려 하면
일단 rtsp 프로토콜에 연결된 프로그램이 없다고 오류가 발생한다.


그래서 VLC에서 재생하면 될 줄 알았더니..
오디오 코덱이 없어서 재생할수 없다고 오류를 발생한다.


[링크 : http://wiki.videolan.org/VLC_Features_Formats]

아무튼 VLC에 이 코덱이 없는건 아니지만, 법적인 문제로 이 코덱을 포함하지 못했으므로
소스를 받아 컴파일을 해서 써야 한다고 한다.
[링크 : http://forum.videolan.org/viewtopic.php?f=7&t=22318]

검색하다 보니 QuickTime 에서도 된다고 하는데,
rtsp 주소를 복사하는 바람에 안되는건지, 아무튼 최신버전을 깔아도 안된다.



20100113 추가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78455]

'프로그램 사용 > V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C configure --help  (0) 2010.01.13
VLC로 웹캠 녹화하기  (4) 2010.01.12
VLC 웹 인터페이스 원격지에서 안될경우  (2) 2009.12.08
VLC를 이용한 웹캠보기  (0) 2009.12.02
VLC 네트워크 플레이 옵션  (4) 2009.11.25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2. 8. 18:13
기본값으로 설치했을 경우
C:\Program Files\VideoLAN\VLC\http\.hosts
라는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 Access-list for VLC HTTP interface
# $Id$
#

# localhost
::1
127.0.0.1

# link-local addresses
#fe80::/64

# private addresses
#fc00::/7
#fec0::/10
#10.0.0.0/8
#172.16.0.0/12
#192.168.0.0/16
#169.254.0.0/16

# The world (uncommenting these 2 lines is not quite safe)
#::/0
#0.0.0.0/0

위의 localhost 부분이 자기 스스로 접속하면 되는데,
외부에서는 접속해도 forbidden 이라면서 접속하지 못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만약에 C Class를 허가하고 싶다면 ip/24로 적어주면된다.
(예를 들어 192.168.0.1~255를 허가하고 싶다면
192.168.0.1/24로 하면 된다.)


참고 : 굳이 VLC 죽였다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갱신되는 듯 하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2. 2. 15:50
VLC에서 웹캠 영상을 받기 위해서는 DirectShow로 하면된다.
위에서 "목록 새로고침"을 눌러 뒤의 콤보박스에서 선택후
"영상 크기" 에서 직접 입력을 해주면된다.

만약 영상 크기가 지원하지 않는다면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0.8.6은 에러도 안보여준다.)


단점으로는, 윈도우 자체 비디오 뷰어보다 응답이 느리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1. 25. 17:50
0.8.6 버전과

1.0.3 버전은

모양이 매우 다르다.
udp나 rtp로 전송시 서버에서는 재생할 client의 ip를 넣어주고
client에서는 ip대신 @를 넣어주면 동영상을 스트리밍한다.

일반 아이피를 넣을 경우에는 RTP/UDP Unicast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udp://localhost 로는 작동되지 않으며, 반드시
udp://@ 로 해야지 작동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링크 : http://wiki.videolan.org/Control_VLC_via_a_browser]


Exception

An exception to these rules appears to be with UDP/RTP streams, where it may look like:
 udp://@:portnumber

 # Example:
 #   udp://@:1234
 #
 # Apparently the @ has a meaning like localhost, though
 #   udp://localhost:1234
 # doesn't seem to work in this circumstance, for some reason.

[링크 : http://wiki.videolan.org/MRL]

머..@는 그냥 localhost의 의미랜다 -ㅁ-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1. 25. 17:47

[링크 : http://www.videolan.org/streaming-features.html]


UDP is only valid with TS

unsupported muxer type for RTP (only TS/PS)

TS가 만세다(웬만한건 다 TS는 기본으로 지원된다)
UDP / RTP 등은 ASF로는 지원하지 않고 TS로 해야지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프로그램 사용 > V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C를 이용한 웹캠보기  (0) 2009.12.02
VLC 네트워크 플레이 옵션  (4) 2009.11.25
VLC 한글 자막 출력하기 - VLC for windows  (2) 2009.11.24
VLC Streaming  (0) 2009.11.24
VLC web interface(웹 인터페이스)  (6) 2009.11.24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1. 24. 21:35
예전에 받아 놓은 애니들을 보다가,
곰 플레이어 에서는 보이지 않던 자막들이 보이길래 먼가 해서 의아해 하다 보니,
동영상 자체에 들어 있는 자막이었다.



아무튼, 각설하고 VLC는 기본값으로는 한글 자막을 지원하지 않는다.
smi 자막은 사용가능 하지만 폰트가 없어서 한글이 전부 □로 나오는데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한다.

위의 메뉴에서 필요한 설정은 텍스트 렌더링 모듈에서 Freetype2 폰트 렌더러로 설정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글꼴에 직접 입력을 해준다. (찾아보기로 해도 파일이 선택이 안된다)
c:\windows\fonts\gulim.ttc
마지막으로 글꼴 크기를 30으로 입력해준다.(이유는 모르겠지만, 30이하는 글씨가 깨져 보인다.)

[링크 : http://hanury.net/wp/archives/177]
[링크 : http://qaos.com/article.php?sid=2132]





2009.12.16 수정
1.0.3 버전에서는 다른것들 설정할 필요없이
글꼴 c:\windows\fonts\gulim.ttc
글꼴 크기 (픽셀단위) 30
만 입력해주면 된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1. 24. 16:18
VLC는 ffserver로 스트리밍 하듯, 자체적으로 스트리밍 서버를 제공한다.


== 서버 ==

VLC Player의 미디어 메뉴에서 스트리밍을 클릭한다.

파일 이름은 레드썬~
추가 버튼을 눌러 파일을 추가하고
아래의 스트림 버튼을 누른다.

여기서는 그냥 다음 버튼을 눌러준다.

다음을 누르면 기본으로 파일로 출력 / H.264로 되어있으니 손을 본다.

스트리밍하면 만만한게 바로 WMV(Window Media Video)
출력은 위에서 파일 대신 HTTP 선택 후 추가를 누른다.
그리고 트랜스코딩에서 Video - WMV + WMA (ASF) 를 선택한 다음, 다음을 클릭한다.

별 다른건 없으니 그냥 스트림을 클릭한다.


== 클라이언트 ==




다른 pc에서 http://serverip:8080 으로 접속하면 스트리밍 되어 나온다.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1. 24. 15:18
VLC는 ffmpeg 의 GUI FrontEnd 인데
ffmpeg 가지고 놀다가, 문득 VLC에서 설정하면 어딘가 ffserver.conf 와 유사한 파일이 생성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이것저것 가지고 놀다보니, 신기한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바로 웹 인터페이스!

가동시킨 컴퓨터의 ip와 8080 포트로 접속하면 웹에서 VLC를 원격제어 할 수 있다.
첫 페이지인 main VLC interface의 화면은 VLC 모습과 유사하다.

파일 열기를 선택하면 위와 같은 텍스트 기반의 파일 선택 창이 나오고

귀차니즘에 Browse를 누르니 목록이 뜬다.(물론 원격지의 파일이다)

두번째 페이지인 VLM interface 페이지.
VLM은 VideoLan Manager 의 약자이고, 스트리밍등의 VOD 서비스를 제어한다.
[링크 : http://wiki.videolan.org/Documentation:Streaming_HowTo/VLM]

세번째 페이지인 Mosaic wizard

1.0.3 버전의 스냅샷이지만, 0.8.6 버전에서도 지원된다.(Flash Based remote playback 제외)


2009/11/25 추가

0.8.6 버전에서는 외부에서도 접속이 가능했지만, 보안상의 문제인지 1.0.3 에서는
기본값으로 localhost 에서만 접속을 허용한다.

Access control

Access control - specific IPs or ranges of IP addresses - to the http interface can be done globally by editing "/usr/share/vlc/http/.hosts" (or "%PROGRAMFILES%\VideoLAN\VLC\http\.hosts" for Windows).

[링크 : http://wiki.videolan.org/Web_Interface]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1. 12. 17:53



Ctrl - H로 토글하거나
위의 메뉴에서 처럼 "Minimal View" - "최소 보기" 로 토글 가능함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