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방2009. 12. 2. 14:20
웹캠사면 주는 프로그램인데,
누가 만든건지 궁금해서 검색을 하는데 딱히 답이 안나온다.
그냥 freeware이긴 한데 흐음..


DirectSHOW 예제 코드인거 같기도 하고
[링크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dd373424%28VS.85%29.aspx]

그 소스를 수정해서 누군가가 올려놓은거 같기도 하고
[링크 : http://noeld.com/programs.asp?cat=video#AMCap]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9. 12. 1. 10:29

맥 스타일의 어플리케이션 런쳐
[로켓닥 : http://rocketdock.com/]



데스크탑을 3D로 만들어주는 프로그램
[리얼데스크탑 : http://www.real-desktop.de/]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9. 10. 27. 17:49
엑셀 뷰어 2007
워드 뷰어 2007
파워 포인트 뷰어 2007

파일 용량으로 봐서는 엑셀이 핵심인듯 하다.
엑셀 50메가 나머지 20메가 정도이다.

오픈 오피스 내려받기

수정해야 한다면, 호환되는 OpenOffice를 추천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Cap - Video Capture using DirectShow  (0) 2009.12.02
데스크탑 꾸미기용 프로그램  (12) 2009.12.01
윤덕용 교수님의 초보자 특별 교실  (0) 2009.10.15
SETI@home lunatics optimizer  (0) 2009.10.14
TFTP server for windows  (0) 2009.08.24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9. 10. 15. 22:37

   1. 마이크로프로세서 초보자를 위한 기술자료 정리

       (1) 수를 나타내는 접두어

       (2) 저항과 콘덴서의 값이나 허용오차를 읽는 법


   2. 윤교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초보자를 위한 특별 컬럼

       (1) 초보는 그 용기와 의욕이 아름답다 

       (2)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콘트롤러란 무엇인가? 

       (3) 하드웨어인가? 소프트웨어인가? 

       (4) 어셈블리 언어인가? C 언어인가? 

       (5) 책인가? 키트인가? 

       (6) 중요한 것은 "왜?"보다 "어떻게?"이다 

       (7) 필요한 내용은 데이터 시트나 사용자 매뉴얼에 다 있다 

       (8) 승부는 머리보다는 엉덩이에 의해 결정된다 

       (9) 아직도 Z80을 쓰십니까? 

       (10) 버그인가? 無知인가? 

       (11) 작품을 만들지 말고 상품을 만들어라! 

       (12) 시간이 초보를 고수로 만들어 주지 않는다 

       (13) 방황하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14) 공과대학 신입생에게 들려주는 대학생활 10계명 

       (15) 엄청난 착각 

       (16) "마이컴"이라는 기술용어는 없다 


   3. 윤교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기술 노트

    이 기술 노트는 원래 마이크로프로세서 분야의 초보자를 위하여 기획된 것이었으나, 향후 노트가 점점 추가될수록
    초보자 수준 이상의 내용이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기술 노트  1] TTL과 CMOS의 이해

       [기술 노트  2] TTL 출력단에서 토템폴 회로의 동작

       [기술 노트  3] 팬아웃이란 무엇인가?

       [기술 노트  4] 잡음여유란 무엇인가?

       [기술 노트  5]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버스란 무엇인가?

       [기술 노트  6] TTL에서 3스테이트 버퍼란 무엇인가?

       [기술 노트  7]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워드란 무엇인가?

       [기술 노트  8] 파워 온 리셋 회로의 허와 실

       [기술 노트  9] 오픈 콜렉터와 오픈 드레인 회로

       [기술 노트 10] 풀업 저항과 풀다운 저항

       [기술 노트 11]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16비트 데이터의 입출력

       [기술 노트 12] 인텔 HEX 파일에 대한 올바른 이해

       [기술 노트 13] 뱅크 스위칭 기법을 이용한 메모리의 확장

       [기술 노트 14] 바이패스 커패시터와 필터 커패시터

       [기술 노트 15] C언어에서의 인라인 어셈블

       [기술 노트 16]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병렬 입출력 회로의 올바른 설계

       [기술 노트 17] 마이크로콘트롤러용의 C컴파일러에서 printf() 함수의 사용

       [기술 노트 18] AVR 및 AVR-GCC를 사용할 때의 유의 사항

       [기술 노트 19] AVR 마이크로콘트롤러의 퓨즈비트 설정에 대하여

       [기술 노트 20] AVR의 SRAM 및 외부 데이터 메모리의 사용 방법

       [기술 노트 21] ATmega1281/2561이 ATmega128과 달라진 사항 요약

       [기술 노트 22] ATmega1281과 ATmega2561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에 대하여

       [기술 노트 23] ATmega128 및 WinAVR에서 printf() 함수의 사용 방법

       [기술 노트 24] ADS v1.2 및 WinARM C컴파일러에서 printf() 함수의 사용 방법

   ☞ 이 기술 노트들은 필자의 사전 서면 허락없이는 어떤 형태의 상업적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없으며, 출판물에 이를
       전재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 그러나, 개인이나 업체의 웹사이트에서 이를 링크하는 것은 자유롭게 허용합니다.
   ☞ 출처를 명시하고 원문을 수정하지 않는 조건에서 웹사이트에 직접 올리는 것도 허용합니다.


[링크 : http://cpu.kongju.ac.kr/detail3a.htm]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스크탑 꾸미기용 프로그램  (12) 2009.12.01
마소 오피스 뷰어(MS office viewer)  (0) 2009.10.27
SETI@home lunatics optimizer  (0) 2009.10.14
TFTP server for windows  (0) 2009.08.24
TeamViewer  (0) 2009.08.03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9. 10. 14. 09:58
어제 들어 가려고 했더니 안들어 가져서 백업본으로 올려 놓는다.




다운로드 날자 : 2009/10/13
[링크 : http://lunatics.kwsn.net/]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소 오피스 뷰어(MS office viewer)  (0) 2009.10.27
윤덕용 교수님의 초보자 특별 교실  (0) 2009.10.15
TFTP server for windows  (0) 2009.08.24
TeamViewer  (0) 2009.08.03
UFO:AI 임시 번역본  (0) 2009.03.07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9. 8. 24. 09:49
윈도우의 IIS는 SMTP / FTP / HTTP는 지원하지만 TFTP는 지원하지 않는다.(머 신버전은 모르겠다)
아무튼 이러한 아쉬운 점을 해결해주는 넘들을 찾아 봤는데
구글에서 상위 랭킹 되는건

freeware로는 tftpd32
30일 제한 freeware로는 WinAgents
그리고 라이센스 확인못한 3com 사의 프로그램이 있다.


tftpd32 의 메인화면

tftpd32 의 설정화면


3cserver 의 메인화면

3cserver 의 설정화면


WinAgent는 30일 무료라서 일단 패스~

[링크 : http://tftpd32.jounin.net/]
[링크 : http://support.3com.com/software/utilities_for_windows_32_bit.htm]
[링크 : http://www.tftp-server.com/tftp-download.html]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덕용 교수님의 초보자 특별 교실  (0) 2009.10.15
SETI@home lunatics optimizer  (0) 2009.10.14
TeamViewer  (0) 2009.08.03
UFO:AI 임시 번역본  (0) 2009.03.07
Dual time clock  (0) 2009.02.04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9. 8. 3. 15:52
대부분의 원격이 D3D에서 지원 안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녀석은 되다고 한다.

나중에 해봐야지 -ㅁ-

[링크 : http://www.teamviewer.com/index.aspx]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I@home lunatics optimizer  (0) 2009.10.14
TFTP server for windows  (0) 2009.08.24
UFO:AI 임시 번역본  (0) 2009.03.07
Dual time clock  (0) 2009.02.04
공개 시리얼 프로그램(터미널) - free terminal program(RS-232)  (6) 2009.01.21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9. 3. 7. 14:49


0media.pk3와 0ufos.pk3는 $UFOAI_HOME/base/ 에 복사 하시면 되고,
ko.zip은 base/i18n/ko 에 넣어 주시면 됩니다(빵집기준 i18n에서 알아서 풀기 하시면 됩니다)

UFO:AI의 중간 결과 입니다.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TFTP server for windows  (0) 2009.08.24
TeamViewer  (0) 2009.08.03
Dual time clock  (0) 2009.02.04
공개 시리얼 프로그램(터미널) - free terminal program(RS-232)  (6) 2009.01.21
Notepad2 개궁극의 버전 - 트래픽 분산용  (4) 2009.01.16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9. 2. 4. 07:47
출장 나와서는 가끔은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현지 시간과 본국 시간을 둘다 보고 싶을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찾게 되었는데, 솔찍히 Naver 데스크탑등을 사용하면 위젯으로 존재하지만, 데스크탑으로 인해서 시스템이
느려지는것을 원치 않기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찾게 되었다.



1. Qlock V 1.87
Freeware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당히 깔끔한 디자인을 자랑한다. docking window 식으로 작동을 하지만,
아쉬운 점은 always on top을 설정하는 곳은 트레이에서 한다는 점이다(찾는데 한참 걸렸다..)
위의 스냅샷 중 상단의 프로그램이다.
[공식 : http://www.qlock.com]


2. NTP Time Zone Clock v 3.0
솔찍히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어디서 다운받는지 못 찾았고, v5.0 이상으로 shareware로 배포되고 있다.
내가 사용하는 것은 구버전인 3.0으로 기능상의 제약은 없지만, 이쁘지가 않고 사용이 조금 불편하다.
위의 스냅샷 중 하단의 프로그램이다.
[공식 : http://www.galleon.eu.com/]
[링크 : http://www.galleon.eu.com/world-time-clock.htm] << 아마도 2.0 버전인 듯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09. 1. 21. 21:07
Windows를 사용한다면 하이퍼 터미널
Linux를 사용한다면 minicom 이 대답인데..

그 외에 사용가능한 대안으로는
open source project중에 putty 와 Teraterm이 있다.

Teraterm의 오리지널은 1999년 이후로는 개발이 안되는 일본판이고
sourceforge.jp 에서 open source project로 진행중인 것이 있는데, 상당히 복잡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putty는 그에 비해서 매우 단순한 터미널이다.

좌측은 PuttyTel(Telnet client) 우측은 Putty(SSH Client)이다.
차이점은 Serial 과 SSH의 차이이다.

 TeraTerm  PuttyTel
 SSH 지원
 SSH지원하지 않음(Putty사용)
 파일 전송 지원(Kermit/ZMODEM/XMODEM)
 파일 전송 지원하지 않음

둘다 드래그로 복사, 우클릭으로 붙여넣기를 지원하여 편하지만,
TeraTerm은 환경을 저장할 수 없어(시리얼 관련) 매번 설정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PuttyTel은 저장이 가능하므로 TeraTerm에 비하면 편리하다.

결국은 파일 전송의 필요에 따라서 어느것을 사용할지 고르면 된다.

물론 용량은
PuttyTel 294,912 바이트
TeraTerm 6,066,571 바이트(설치 프로그램) 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

[Putty :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
[Teraterm : http://ttssh2.sourceforge.jp/]


2009.2.3 덧붙임

Putty 0.59 beta 부터 serial 기능이 통합되었습니다.

These features were new in beta 0.59 (released 2007-01-24):

  • PuTTY can now connect to local serial ports as well as making network connections.

[출처 :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changes.html]
PuTTY Change Log
0.60 beta 버전의 putty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amViewer  (0) 2009.08.03
UFO:AI 임시 번역본  (0) 2009.03.07
Dual time clock  (0) 2009.02.04
Notepad2 개궁극의 버전 - 트래픽 분산용  (4) 2009.01.16
POTO TV CSE 드라이버(회색)  (22) 2008.11.26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