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q는 0번 cpu에서만 처리하는게 기본이었던 것 같은데
멀티코어 cpu가 기본이 되면서 irqbalance 라는 데몬이 생겨나서
cpu를 옮겨가면서 irq를 처리하는 cpu가 고정되지 않도록 하는 데몬이 생겨났나 보다.
이론적으로야 하나의 cpu가 아닌 돌아가면서 하거나 나눠서 할 것 같은데
옮기면서 처리량이 줄어드는 문제도 있을수 있으니 필요에 따라서는 로드밸런싱을 하지 않는게 유리할수도 있나 보다.
sudo systemctl disable irqbalance sudo systemctl stop irqbalance |
[링크 : https://pak-j.tistory.com/56]
아래는 irq의 cpu 할당(affinity)를 지정하는 명령인데 2005년 꺼라..
irqbalance 데몬이랑 어떻게 엮이려나.. 일단 테스트 해봐야 할 것 같다.
근데.. 내 노트북에서는 eth0가 안보이네 usb라서 그런가?
echo 3 > /proc/irq/31/smp_affinity cat /proc/interrupts CPU0 CPU1 CPU2 CPU3 0: 4865302 5084964 4917705 5017077 IO-APIC-edge timer 1: 132 108 159 113 IO-APIC-edge keyboard 2: 0 0 0 0 XT-PIC cascade 8: 0 1 0 0 IO-APIC-edge rtc 10: 0 0 0 0 IO-APIC-level usb-ohci 14: 0 0 1 1 IO-APIC-edge ide0 24: 87298 86066 86012 86626 IO-APIC-level aic7xxx 31: 93707 106211 107988 93329 IO-APIC-level eth0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do time (0) | 2025.09.17 |
---|---|
dd 로 덤프 하면서 바로 압축하기 (0) | 2025.07.24 |
gpiod - gpiomon (0) | 2025.07.17 |
scrub (0) | 2025.02.04 |
Block SCSI generic (bsg) driver (0)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