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type 사용을 해보다가 샘플 프로그램이 뱉어내는 pbm / pgm 확장자가 궁금해졌다.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간단한 헤더와 함께 해상도가 나와있고,
GIMP에서는 별다른 조작없이 바로 읽어들여졌다.


아무튼 pbm과 pgm의 차이점은 일단 Pn 으로 아래의 표를 보면
바이너리 bitmap / graymap 이며, graymap의 경우에는 255단계라는 것이 추가 된것으로 보인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etpbm]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etpbm_format]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간단한 헤더와 함께 해상도가 나와있고,
GIMP에서는 별다른 조작없이 바로 읽어들여졌다.
아무튼 pbm과 pgm의 차이점은 일단 Pn 으로 아래의 표를 보면
바이너리 bitmap / graymap 이며, graymap의 경우에는 255단계라는 것이 추가 된것으로 보인다.
[링크 :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etpbm_format]
'이론 관련 > 2D 그래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처리 관련 링크 기술 (0) | 2017.04.19 |
---|---|
HDRi / HDRI (High dynamic range imaging) (0) | 2011.04.29 |
BDF - Bitmap Distribution Format (0) | 2011.04.28 |
pbm pgm - Netpbm format (2) | 2010.06.09 |
FOV - Field of View (2) | 2009.10.26 |
UV mapping / UVW mapping (0) | 2009.09.30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그러고보니 구차니님 블로그는 광고 하나도 안달아놨네요?
2010.06.09 16:05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알라딘 TTB 라도 하나 달아두시져~? 노출만으로 한달에 책 한권 살 정도의 수익은 나오든데....
귀찮은게 가장 크구요
2010.06.09 16:12 신고 [ ADDR : EDIT/ DEL ]로딩 느려지는것도 싫고, 굳이 티스토리에서 공짜로 하는데 광고비를 내가 벌어야 하나? 싶기도 해서요 ㅎ
no income, no outcome 입니다 ㅋ
제가 도메인도 사고 호스팅도 했더라면 광고로 도배되었을지도 모르겠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