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드라이버에 의해서 잡혀있을 경우 UU로 나온다는데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드라이버에 의해 예약되어 있을 때에도 UU 로 나온다고
[링크 : https://sysplay.in/blog/tag/i2cdetect/]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7821063]
일단 amd 랑 합병되면서
기존의 xilinx 계정은 날아갔는지 이메일로만 로그인 하라고 나와서 계정 새로 파고 -_-
설치하려고 하니 어라.. Win 10 Pro만 지원하냐?
Next 누르면 넘어는 간다.
뭔놈의 cpu를 이렇게 쪽쪽 빨아먹냐 -_-
단순 다운로드 중인데!! (혹시 보안상의 문제로 AES로 암호화 해서 주고 받는건 아니겠지?)
i2c read 예제
[링크 : https://infoarts.tistory.com/40]
[링크 : https://southlife.tistory.com/21]
일단.. 메모리가 후달리겠지만 시도는 해볼까?
램 2GB에 eMMC 8GB 인걸로 기억하는데 SD 메모리 꽂고 스왑으로 쓰는게 나을까?
[링크 : http://www.orangepi.org/html/hardWare/computerAndMicrocontrollers/details/Orange-Pi-3.html]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mGY3yfVUpm4]
[링크 :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Urh9-yljq9Mrrafp7ZWRVf_s_AdjUoTQ]
+
해당 이미지가 1GB 밖에 되지 않아, 4GB SD에 넣고 부팅을 하니 다음과 같은 화면 하나만 덜렁 나오고 끝이다.
아마도 eMMC에 복사하는 과정인 것 같은데, 여기까지 진행되면 전원 뽑고, SD 빼고 다시 켜면 끝
처음 켤때는 android 초기화 때문에 좀 오래 걸리지만 두번째 부팅에는 10초 정도? 걸린 것 같다.
youtube 앱(?)도 실은 firefox로 접속하게 하는거고 android 7이라 요즘 앱들은 설치하기 힘들듯.
LED 중 빨간색(전원)만 들어오고 노란색(SD)가 들어오지 않아서
3.3V와 5V를 재보니 5V는 나오는데(당연히 USB 전원 bypass니..)
3.3V가 한개는 0, 다른 한개는 1.6V 이런식으로 뜬다.
찾아보니 MxL 인지 먼지 써있던 상단부 IC가 PMIC인데 Programmable... -_-
칩을 구매한다고 해도 i2c를 통해서 PMIC를 프로그래밍 해야 원하는 전압으로 셋팅이 되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의미
VOUT1 - 3.3V
VOUT2 - 1.8V
VOUT3 - 1.2V
VOUT4 - ? (reduced schematic에 안나옴)
[링크 : https://datasheets.raspberrypi.com/rpi3/raspberry-pi-3-b-plus-reduced-schematics.pdf]
VOUT3 - 1.35V > 1.2V
VOUT4 - 1.2V ?
기본값으로 쓰면 DDR에 데미지 줄 가능성이 존재하고.
VOUT4의 전압을 모르니(살아있는 놈을 재보면 되지만.) 애매하다..
게다가 주변부는 캐패시터랑 부피큰놈들이 떼는걸 더욱 어렵게 하는 중..
[링크 : https://assets.maxlinear.com/web/documents/mxl7704.pdf]
결론 : 걍 포기하면 편해. 35$ 밖에 안하잖아?
[링크 : https://iotforgeeks.com/dead-raspberry-pi-3b/]
온도 습도 1도, 1% 단위로 측정 가능한 녀석.
그나저나 내부 계산을 하는지 float 형으로 온도와 습도를 전달한다.
23.09.18
DHT11은 습도 범위 20~80%
DHT22는 0~100% 범위를 읽을 수 있다.
[링크 : https://github.com/adafruit/DHT-sensor-library]
[링크 : https://github.com/adafruit/DHT-sensor-library/blob/master/DHT.cpp]
[링크 : https://learn.adafruit.com/dht]
print는 포맷에 맞추어서 출력하고
write는 변환없이 (%c ?) 출력하는 듯.
[링크 : https://www.arduino.cc/reference/en/language/functions/communication/serial/print/]
구조체 만들고
세번째 방식으로 출력하면 되려나?
[링크 : https://www.arduino.cc/reference/en/language/functions/communication/serial/write/]
orange pi 는 그래도 H 시리즈이긴 한데 검색해보면 영 꺼림직 하네..
걍 봉인해야 하나?
[링크 : https://www.reddit.com/r/OrangePI/comments/4ir1um/orange_pi_has_root_debugger_backdoor/]
[링크 : https://github.com/armbian/build/issues/282]
[링크 : https://namu.wiki/w/Allwinner]
[링크 : 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16-10225]
5.10.75-sunxi64 커널이었네.. 받았을 당시에는 백도어 생각을 못해서 넘어갔는데 흐음..
2021.12.28 - [embeded/orange pi] - orange pi 3 기동
정체 불명의 EBAZ4205 라는 보드
12V 몰렉스 3x2 핀이 필요하지만 장난질(?) 치면 그냥도 켤 순 있을 것 같은데, 가격도 착하고 끌린다!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C764788575]
[링크 : https://github.com/KeitetsuWorks/EBAZ4205]
[링크 : https://theokelo.co.ke/getting-starting-with-ebaz4205-zynq-7000/]
원래 35위안/5달러 근처의 ASIC 마이터 제어용 보드인 듯.
근데.. ASIC 돌리는데 왜 굳이 zynq를...?
[링크 : https://github.com/xjtuecho/EBAZ4205]
[링크 : https://www.asicminervalue.com/miners/ebang/ebit-e9]
2.54mm 아니고 2.00mm pitch 핀헤더로, 14 * 3 = 42개 GPIO가 나와있긴 하다.
아날로그 쪽은 최대한 빠져있긴 한데, MIO 쪽은 별로 없어서 어떻게 쓸 수 있을지 모르겠다.
FPGA의 ADC를 이용해서 온도 모니터링 하려고 zynq로 한건가?
[링크 :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4052650225.html] 49203 + 5103 = 54306 / 174주문 <<
[링크 :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4460394748.html] 49075 + 5776 = 54851 / 60주문
라즈베리 4 되면서 3랑은 구조가 달라졌는데
uboot 외에도 eeprom으로 탑재된 독립된 부트로더가 존재한다
그래서 라즈베리 4는 켜면 먼가.. 그래픽 하게 PC 같은 느낌으로 나온다.
[링크 : https://raspberrypi.stackexchange.com/questions/117098/how-to-remove-the-bootloader-startup-screen-on-rpi-4-buster]
아무튼 얘가 날아갔을 때 복구이려나?
[링크 : https://www.fastoe.com/blog/rpi-4_400-eeprom-recovery-guide]